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국내 바이러스성출혈열 의심 신고ㆍ대응 특성 및 대응 지침 소개

  • 등록일2019-12-04
  • 조회수419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11-21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러스성출혈열#에볼라#마버그
  • 첨부파일
    • pdf 국내_바이러스성출혈열_의심_신고ㆍ대응_특성_및_대응_지침_소개... (다운로드 46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국내 바이러스성출혈열 의심 신고ㆍ대응 특성 및 대응 지침 소개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센터 신종감염병대응과

장윤숙, 김화미, 김정현, 곽진


초  록


바이러스성출혈열은 해외 토착지역을 중심으로 산발하거나 유행 중이며, 치명률이 높아 국내 유입 시 공중보건학적 위기를 초래할 수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부터 국내 (의사)환자 발생신고를 의무화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로 유입된 바이러스성출혈열 사례는 없었으며, 국내 유입 및 전파 가능성은 매우 낮게 평가되고 있으나, 해외여행ㆍ교류의 증가에 따른 국내 유입 가능성은 상존한다.


이 글은 최근 바이러스성출혈열 의사환자로 신고된 사례의 역학적ㆍ임상적 특성과 우리 보건당국의 대응 특성을 공유하고, 바이러스출혈열 대응지침 주요사항을 소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2016년부터 2019년 9월까지 바이러스성출혈열 의사환자 등으로 신고된 사례는23건으로, 모두 바이러스성출혈열 환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23건 중 9건(39.1%)은 열대열 말라리아로 최종 확인되었으며, 발생신고부터 실험실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성출혈열을 확인·배제하기까지 14시간(중앙값)이 소요되었다. 신고사례 중 「감염병진단ㆍ신고기준」에 따른 역학적·임상적 위험요인이 뚜렷한 바이러스성출혈열 의사환자는 없었으며, 대부분의 신고사례에서 바이러스성출혈열 배제진단 검사를 위해 신고하는 특성을 나타내어, 바이러스성출혈열 배제진단 목적의 검사의뢰 절차 개선과 말라리아 신속검사 등 우선순위 질환에 대한 진료 권고 등 보완이 필요하다.


2019년 7월, 질병관리본부는 「바이러스성출혈열 대응지침(제1판)」을 제정·발간하였다. 의사환자 발생신고 시 역학적 위험도와 임상상에 따라 신고사례를 3단계로 구분하고, 관리대상과 관리제외 대상을 제시한 것이 주요 특징이다. 이 보고서는 바이러스성출혈열 신고ㆍ대응 특성을 분석하여 의료기관의 신고 경향을 확인하고 지침 보완사항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신고ㆍ대응 누적 사례에 대한 추가 검토와 이를 토대로 지침을 지속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들어가는 말


바이러스성출혈열(Viral hemorrhagic fever, 이하 ‘VHF’)은 에볼라바이러스병, 마버그열, 라싸열 등 출혈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출혈성 질환을 말한다. 에볼라바이러스병, 마버그열, 라싸열의 잠복기는 2∼21일이며, 전파력과 치명률이 높고[1], 특이치료제가 없어 단 1례의 국내 유입에도 공중보건학적 위기와 국민 불안을 초래할 수 있어 대비가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입국자 검역, 의료기관의 의사환자 발생신고, 1339 상담 등 다양한 경로와 방법으로 연중 감시를 실시하고 있다.

 

국내에서 그간 바이러스성출혈열 의사환자 발생신고는 매우 드물어 발생신고와 대응 특성에 대한 분석ㆍ평가가 이뤄진 바가 없었다. 최근 바이러스성출혈열 의사환자 발생신고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2015년 국내 메르스 유행에 의한 공중보건학적 위기 경험 이후 법정감염병 신고의무와 벌칙조항에 대한 의료인의 인지 강화,
유행국가 여행자 정보를 의료기관에 제공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이 보고서는 향후 의료기관의 발생신고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최근 국내 바이러스성출혈열 의사환자 발생신고 사례의 역학적ㆍ임상적 특성과 우리 보건당국의 대응 특성을 공유하고, 바이러스성출혈열 대응지침을 소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