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질환극복을 위한 임상현장 기반 중개연구 가속화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등록일2019-12-09
- 조회수461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11-29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임상현장#중개연구#질환극복
- 첨부파일
질환극복을 위한 임상현장 기반 중개연구 가속화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목 차 >
요약
1. 사업 개요 및 조사 방법
2. 기초자료 분석
3. 과학기술적 타당성 분석
4. 정책적 타당성 부석
5. 경제적 타당성 분석
6. 종합분석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요약
1. 사업 개요 및 조사 방법
1. 사업 개요
□ 추진 배경 및 필요성
○ 보건의료 R&D 생산성 위기 문제의 핵심은 기초연구와 임상시험 등 실용화 단계 간 연계의 부족(Death Valley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중개연구의 중요성이 강조
○ 인구구조 변화와 질병 발병 양상 등으로 보건의료 기술 혁신을 통한 질병 극복 수요는 증가 추세이며 글로벌 보건의료산업은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BT 산업 육성 필요
○ 2005년부터 중개연구 지원을 위한 사업이 추진되어 왔으나, 2018년 일몰되어 지원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
○ 중개연구는 고위험-고비용 특성으로 기초-산업-임상 연구자간 단절시 중개연구 효과 미미하여 이에 대한 정부지원 필요
□ 사업 개념
○ 임상현장으로 새로운 치료수단이 더 빨리 전달되어 환자의 질환극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초연구 아이디어의 임상 실용화를 촉진하는 사업

[그림 1] 동 사업의 포지셔닝(개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
- 기술동향 암 중개연구를 위한 전임상 플렛폼과 활용(in vitro 모델과 in vivo 모델의 최신 기술과 적용) 2018-01-18
- 정책동향 보건의료 R&D 글로벌 동향 (글로벌 5개 중개연구 기관 통합 조직 Translation Together) 2017-11-30
- 정책동향 글로벌 주요 5개 중개연구 기관 통합 조직 “Translation Together"로 중개연구 활성화 촉진 2017-11-22
- 기술동향 중개연구-비임상 효능연구와 그 역할 2014-04-15
- 기술동향 신약의 효율적 개발의 필요성과 중개의학의 도입 201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