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3D프린팅 기반 의료·바이오기술 (2019-17)
- 등록일2019-12-30
- 조회수471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12-12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첨부파일
3D프린팅 기반 의료·바이오기술 (2019-17)
Contents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동향
제3장 산업동향
제4장 정책동향
제5장 R&D 투자동향
제6장 결론
제1장 개요
1.1. 작성 배경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장기 이식 수요는 매년 증가하지만, 그에 비해 장기 기증자는 부족함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장기 이식 대기자 수가 매년 평균11.8%씩 증가하여 30,286명에 도달했으나, 장기 기증자의 수는 2,865명으로 대기자 수의 1/10 정도임1)
-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장기 이식 대기자 중 사망자는 총 5789명으로 하루 평균 3.17명이 장기 기증자를 기다리다 사망하였음2)
●이러한 장기 이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3D프린팅을 활용한 의료· 바이오 기술이 주목받고 있음
- 3D 의료·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하면 의료영상정보(CT, MRI 등)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의료제품 제작 가능
- 반복 제작이 가능하다는 점과 뛰어난 재현성, 정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음
- 기존 이식형 의료기기와는 달리 살아있는 세포를 이용하여 결손 조직 및 장기의 형상을 제조할 수 있음
●현재는 정형외과, 성형외과, 치과를 중심으로 인공관절이나 성형재료, 기능 복원을 위한 의수 같은 환자 맞춤형 의료기기 제작에 활용되고 있음3)
- 기존에는 대량생산·범용 제품 중에서 환자가 가장 편한 제품을 채택하는 방식이었다면, 이제는 환자의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제품을 환자에 맞추는 개인 맞춤형 제작이 가능해짐
1) 질병관리본부 (2017), “2016년도 장기등 이식 통계 연보”
2) 헬스조선 (2017. 7. 12.), “장기 기증자 태부족… 하루 3.17명 이식 기다리다 숨져”
3)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18. 05.), “알기 쉬운 의료기기 3D프린팅 기술의 이해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