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보건의료빅데이터의 표준화와 품질평가
- 등록일2020-01-14
- 조회수491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12-24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통계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의료 #빅데이터
- 첨부파일
보건의료빅데이터의 표준화와 품질평가
목차
I. 서 론
II. 보건의료 데이터의 개방과 활용
III. 의료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Ⅳ. 의료 빅데이터 품질평가 제도 및 사례
Ⅴ. 결론 및 시사점
I. 서 론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국민의 건강 증진 및 질병치료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의학의 발전, 의료서비스의 제공과 보건 정책 및 시스템 전반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Rijemnam, 2018).
●의료 빅데이터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의 통합과 관리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논의와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그러나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기본 의료정보와 유전체, 라이프로그 등 개인의 건강과 관련된 복잡한 요소와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데이터의 통합, 개방과 활용을 위해서는 관련 정보화 기술 수준 외에 정부의 전략적 정책 및 제도 마련, 이해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한 사회적 합의를 필요로 함 (OECD, 2015).
●특히, 보건의료분야의 경우 빅데이터가 실질적으로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확보를 위한 데이터 품질관리 거버넌스가 필요함.
●일반적으로 데이터 거버넌스는 개별 조직의 데이터 관리기능이 효과적으로 이뤄지도록 하는 평가, 감독, 모니터링 체계를 의미하나, 빅데이터 거버넌스는 ‘조직 중심의’ 품질활동을 넘은 다수의 데이터 생산 조직으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형태와 속성의 데이터를 특정 목적에 맞게 통합, 관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중심’ 관리 체계의 수립으로 볼 수 있음.
●따라서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국가차원의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 및 통합을 위한 거버넌스 관련 이슈들을 간단히 정리하고, 이 중 핵심이슈로 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평가의 현황과 제도, 주요 사례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19 화장품 정책설명회 발표자료
-
다음글
- 나노융합2020사업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