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19년 국가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 등록일2020-01-22
- 조회수398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1-08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 2019년#과학기술#역량평가
- 첨부파일
2019년 국가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목차
PART01 국가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제1장_국가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개요
1. 추진배경
2. 목적
3. 추진경과
4.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개념
제2장_국가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방법론
1. 평가 방법론
2. 지표체계
3. 평가대상 국가
4. 평가 절차
5. 2019년 지표 변경
PART02 2019년도 국가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결과
제1장_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 분석결과
1. 2019년도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 분석결과
제2장_부문, 항목 및 지표별 결과 ····
1. 2019년도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 부문별 분석결과
2. 2019년도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 항목별 분석결과
3. 2019년도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 부문별 항목 구성 분석결과
4. 2019년도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 지표별 분석결과
제3장_부문, 항목 및 지표별 상세 결과
1. 자원 부문
1-1. 인적자원 항목
제1장국가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개요
1. 추진배경
지식기반 경제에서 과학기술이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됨에 따라, 과학기술혁신 역량 제고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 ∙ 세계 각국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
※ 유럽연합(EU)의 Horizon 2020은 ‘우수과학 경쟁력 강화’, ‘산업적 리더쉽 강화’ 등을 전략목표로 제시하여 유럽연합 국가들의 지속적인 과학기술 발전과 혁신역량강화를 제고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우선 국가 과학기술 혁신역량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평가가 필요 ∙ IMD, WEF 등 국내・외 경쟁력 및 혁신지수들은 과학기술 부문을 포함하고 있으나 국가 경쟁력의 하부구조로서 과학기술을 분석하거나 혁신 전반에 대해서만 측정. 따라서 과학기술의 체계적인 분석이나 과학기술혁신역량에 대한 분석은 미흡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정책동향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사회서비스 통합, 역량강화형 복지·돌봄혁신 방안 2025-05-02
- 정책동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심의회의를 통한 과학기술혁신 종합조정기능 강화 방안 연구 2025-04-29
- 정책동향 지역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기획 및 제도 구축‧활성화 방안 연구 2025-04-25
- 기술동향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연구(5차년도): 제7회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사전기획 연구 2025-04-09
- 정책동향 2024년도 과학기술분야 정책점검 체계 구축 및 국가과학기술현황 종합인식조사 연구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