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 등록일2020-02-20
- 조회수452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2-12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업#전망#식량작물#수급#동향
- 첨부파일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요약본
식량작물 수급 동향과 전망
1) 수급 동향
∙ (쌀) 수확기 쌀 가격은 생산 감소에도 불구하고, 2018년산 역계절진폭 발생과 구곡 재고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9% 낮게 형성되었다. 2019양곡연도 1인당 소비량은 가격 상승과 추세적인 요인 등이 반영되어 전년보다 1.1% 감소한 60.3kg 내외로 추정된다.
∙ (콩) 2019년산 수확기 콩 가격은 생산량이 전년 대비 17.8% 증가하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하락하였다. 반면, 정부 수매가 인상 및 수매물량 증가의 영향으로 가격 하락폭은 크지 않았다.
∙ (감자) 2019년 감자 가격은 노지 봄감자와 고랭지감자 생산량이 평년 대비 22% 증가해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가을감자 작황 부진으로 11월 이후 가격이 잠시 반등하였으나, 저장물량이 많아 여전히 평년 대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 단기 전망
∙ (쌀) 2019년산 단경기 쌀 가격은 공급 부족 예상으로 수확기보다 2.1% 상승한 19만 4천 원/80kg 내외로 전망된다. 2020년산 농가 벼 재배의향면적은 높은 쌀값 등으로 전년 재배면적 대비 0.9% 감소한 72만 4천ha로 나타났다.
∙ (콩) 2020년 콩 가격은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나 정부 수매량이 큰 폭으로 늘어 시장공급물량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수확기에 형성된 가격 수준 에서 보합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콩 재배면적은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 등의 영향으로 전년 재배면적 대비 2.3% 증가한 6만 ha 수준으로 전망된다.
∙ (감자) 2020년 상반기 감자 가격은 2019년산 가을감자 작황 부진에도 불구 하고 2019년산 노지 봄감자 및 고랭지감자 저장 물량이 많아 전년 대비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재배의향면적은 시설 봄감자가 전년 재배면적 대비 6.4% 증가하고, 노지 봄감자도 전년 대비 감소하나 평년 대비로는 10% 이상 많아 향후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3) 중장기 전망
∙ (쌀) 공익직불제 개편으로 벼 재배면적은 목표가격제가 유지된다고 가정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가소득은 공익직불제 개편 시 목표가격제가 유지됐을 때보다 연평균 2천 원/80kg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 (콩) 콩 재배면적은 논 타작물재배지원사업 등의 영향으로 2020년에는 소폭 증가하겠으나, 타작물 전환 지원정책이 지속되지 못할 경우 감소 추세로 전환 되어 2029년까지 연평균 1.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감자) 감자 전체 재배면적은 가격 약세에 따른 재배의향 감소 등으로 2020년 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1.2% 감소할 전망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18년 기준 보건의료 질 통계
-
다음글
- [KBCH 브리핑] CBD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논의를 위한 초초안(zero draft) 분석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