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제160호 과학기술&ICT 동향] WEF, 2020년 다보스포럼 핵심 이슈와 현안 공유 등
- 등록일2020-02-25
- 조회수481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2-17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ICT# 다보스포럼#WEF
- 첨부파일
과학기술&ICT 정책, 기술 동향
[목 차]
① 이슈 분석
ICT 주요국의 디지털 트윈 추진 동향과 시사점
②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연방회계감사원 과학기술 업무 소개
일본, 문샷형 연구개발제도 6대 목표 설정
일본, 연구력 강화·신진연구자 지원 방안 공개
중국, 연구원 자주권 확대 정책 수립
중국, 커촹반과학혁신판 추진현황 및 성과 발표
독일, 베를린 AI 기초 연구소 설립
WEF, 유망한 글로벌 일자리 전망
WEF, 2020년 다보스포럼 핵심 이슈와 현안 공유
2. ICT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ICT 산업에 미칠 영향 주목
5G·폴더블, '20년 스마트폰 시장 성장을 견인할 활력소
'무선 이어폰'시장, 글로벌 업계 新수익창출원으로 부상
중국, 자체 개발한 PC용 OS 공식 발표…기술 자립화 속도
20년 반도체 시장 훈풍, 메모리와 자동차용 제품이 성장 주도
CB Insights, 2020 Tech Trend…14개 분야 예측
③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④ 주요 통계
1. 디지털 트윈의 개념과 정의
(개념) 디지털 트윈은 가상의 세계에 현실을 반영한 모델을 구현하여 데이터의 ‘생성→전송→취합→분석→이해→실행(딜로이트,2017)’ 등의 절차로 실제 세계와 가상의 세계를 실시간으로 통합하는 것이 핵심
① (생성)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공정 성능 및 주변 환경・외부데이터의 중요한 입력 값을 측정하는 센서 설치
② (전송)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플랫폼 간의 완벽한 실시간 양방향 통합 및 연결 지원
③ (취합) 데이터 보관소에 이관, 데이터 분석을 위해 처리 및 준비
④ (분석) 실시간 통합된 데이터를 통해 알고리즘 기반의 시뮬레이션과 시각화 루틴을 통한 데이터 분석
⑤ (이해) 대시보드와 시각화를 통해 통찰력 제시,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오차를 조명해주어 추가적인 조사와 변화가 필요한 영역 확인
⑥ (실행) 작동장치를 통해 물리적 세계의 공정으로 피드백・적용, 디지털트윈 영향력 실현
(특징) 디지털 트윈은 현실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가상에 구현하여 필요에따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적용분야가 광범위
ㅇ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가상에 구현된 디지털 트윈으로 직관적 모니터링
- 시제품을 가상으로 확인해볼 수 있어서 시장 출시 기간 단축과 잠재적 실패 감소
- 다양한 대상을 전 생애주기에 거쳐 통합적인 정보 확인
- 문제 부분 시각적 확인을 통한 보수 시간과 다운타임 단축
ㅇ 현실과 연결된 가상의 디지털 트윈을 통해 현실의 개체를 쉽게 제어
- 원격을 통해 거리에 상관없이 실시간 현장관리 및 상호작용 가능
- 복잡한 작업도 최적의 조건에 맞게 제어
ㅇ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시뮬레이션으로 최적화
- 시뮬레이션을 통한 미래 예측으로 최적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어 생산성, 경제성, 안전성, 경쟁력 향상
2. 디지털트윈의등장
(진화) 디지털 트윈을 이루는 기술의 발전으로 계속 진화 중
ㅇ ’02년 美 미시간大 마이클 그리브스 교수가 ‘디지털 트윈’이란 용어를 사용했으나 당시엔 개념적으로만 존재
ㅇ ’16년 GE에 의해 현실과 가상이 연결된 디지털 트윈 실현으로 이슈화
ㅇ IoT, AI, Bigdata, Cloud, 5G, VR/AR/MR 등의 다양한 핵심 요소 기술 발전도 디지털 트윈의 활용을 촉진하여 시장의 본격적 성장
(단계) 디지털 트윈은 크게 3단계로 분류
레벨1: 현실 객체의 기본적 속성을 반영한 디지털 객체
레벨2: 실세계와 연결되어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
레벨3: AI등을 적용해 고급 분석과 시뮬레이션이 가능
※레벨3을 구현하는 스마트 공장과 스마트 도시는 아직 없으나 그 단계를 선점하고자 국가와 기업들이 경쟁 중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