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과학기술혁신정책 핵심이슈 발굴 및 인텔리전스 기능 강화 연구

  • 등록일2020-03-10
  • 조회수375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2-26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혁신정책#인텔리전스
  • 첨부파일
    • pdf (AJ19050_변순천)_과학기술혁신정책 핵심이슈 발굴 및 인텔리전스... (다운로드 4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과학기술혁신정책 핵심이슈 발굴 및 인텔리전스 기능 강화 연구


변 순 천 외



 요 약 문



1. 추진배경 및 방법 


● (배경) 과학기술혁신 정책수립 단계에서 고려해야할 경제・사회 환경변화의 범위와 속도가 급격히 증가 중 

  * 인공지능, 빅데이터, 자율주행자동차 등 혁신기술들이 10년내 현실화될 전망(예측조사 기술확산점)이고, 플랫폼경제·긱경제·공유경제 등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노동・교육・생활 등에 다양한 변화가 발생 중 


● 과학기술혁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트렌드・이슈에 대해 사전에 탐색하고, 혁신정책 수립・실행 관점에서 대응방향을 마련할 필요 


● (방법) 경제・사회 분야별* 주요 이슈 발굴 및 정책영역별 파급효과 분석 

  * 경제・산업, 사회, 정치(국가정책), 환경・생태, 혁신기술, 혁신접근법 

  - 분야별 이슈에 따른 과학기술정책 영역* 내 미래전망, 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향후 주요 아젠다 탐색  

  * 정책영역 : R&D, 인재, 신산업, 지역, 사회문제, 개방・협력, R&D투자, 평가, 규제, 지식재산, 기타 

  ** 분야별 이슈(트렌드) 총 43개 x 정책영역 10개 = 총430개 영역 탐색 


● 2030년까지의 변화를 내다보고 향후 5년 내 집중해야할 정책아젠다 후보를 과학기술혁신 관련성, 정책적 대응 준비도 등을 고려*하여 도출(20개) 

  * 파급효과, 발생가능성, 파급시기, 정책적 대응 준비도, 과학기술혁신 관련성 


● 내・외부 과학기술혁신 주요 의사결정자* 검토 및 산・학・연 연구자 설문조사 등을 통해 분석할 정책아젠다 선정(12개) 

  * 과기자문회의 위원, 국과심 위원 등 주요 위원회위원, 정책수립 핵심 이해관계자 등




[목   차]



Ⅰ. 개 요

Ⅱ. 과학기술혁신 정책 아젠다 도출 주요내용

Ⅲ. 12대 과학기술혁신 정책 아젠다

Ⅳ. 결론 및 정책제언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