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핵심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등록일2020-03-11
- 조회수400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2-28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환경성질환#기술개발사업
- 첨부파일
2019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환경성질환 에방관리 핵심 기술개발사업
[목 차]
요 약
제 1 장 사업 개요 및 조사 방법
제 2 장 기초자료 분석
제 3 장 과학기술적 타당성 분석
제 4 장 정책적 타당성 분석
제 5 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제 6 장 종합분석 및 결론
참 고 문 헌
부 록
요 약
제 1 장 사업 개요 및 조사 방법
1. 사업 개요
가. 사업의 추진배경
■ 다양한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환경성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국민건강에 미치는 피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손실도 크게 발생하여 이에 대한 국민의 우려와 불안감이 높아지는 상황
■ 환경성질환으로 인한 국민건강 피해를 최소화하고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환경성질환 사전예방 관리 강화로 정부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
● 정부는 기존 사후대응 중심에서 사전예방 관리 강화, 환경오염에 취약한 대상에 눈높이를 둔 환경 정의 구현으로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
● 환경부는 「환경보건법」에 의거하여 환경성질환 예방 및 관리를 담당하는 주무부처 로서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정책의 체계적 실행을 담당
■ 이러한 여건을 고려할 때 환경성질환 범위 확대,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및 피해구제 정책 지원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상황황
● 다양한 환경유해인자가 증가하고 이로 인한 환경성질환 피해도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따라, 관리 대상 환경성질환 및 환경유해인자 범위 확대를 위한 기술 확보가 필요
● 환경성질환으로 인한 국민건강 피해 최소화를 위해 환경성질환의 사전예방관리 강화 정책을 뒷받침하고 실효성 있는 피해구제를 위하여 피해영향을 보다 객관적으로 조사하고 평가할 수 있는 과학적 기반 마련이 시급한 상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