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일본, 제 11차 과학기술예측조사를 통해 본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의 미래상'

  • 등록일2020-04-01
  • 조회수407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3-06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일본#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의 미래상
  • 첨부파일



일본, 제 11차 과학기술예측조사를 통해 본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의 미래상'



 [목   차]


Ⅰ. 일본의 과학기술예측조사 개요 ··································1

Ⅱ. 제 11차 과학기술예측조사의 프레임워크 ·················3

Ⅲ. 2040년, 과학기술과 일본 사회의 미래상 ················8

Ⅳ. 결론 및 시사점 ························································31

 



요   약

 

■ 일본의 과학기술예측조사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과학기술혁신 정책·전략 수립에 기여하는 기초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추진

- ’71년부터 약 5년마다 실시되어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한 사회의 미래상을 설계하고 이해관계자 사이에 정보를 공유하는 역할을 수행

- 사회적·정책적 기조 변화에 따라 과학기술 시즈형, 니즈형, 사회문제 해결형, 사회 비전 구축형으로 다양한 형태의 개선을 거듭

 

 

■ 제 11차 과학기술예측조사는 ’40년을 목표로 설정하여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의 미래상을 제시함과 동시에 ’50년까지의 미래 전망을 예측

- 과학기술과 사회의 동향 파악, 사회의 미래상, 과학기술의 미래상,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회의 미래상으로 총 4개의 파트로 구성

- 과학기술과 사회의 복잡한 관계에 따라 두 관점을 양방향에서 검토하여 통합적인 시나리오를 도출한 것이 특징

- 일본 사회의 미래상은 총 50개가 제시되었으며, 중시해야 할 4개의 가치로 Humanity, lnclusion, Sustainability, Curiosity를 설정하여 유형화

- 과학기술의 미래상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의 중요도, 국제경쟁력, 실현전망, 실현을 위한 정책수단을 도출

- 또한, ‘분야 횡단·융합 가능성이 높은 영역’, ‘특정 분야에 축을 둔 영역’으로 과학기술 클로즈업 영역 16개를 도출

- 마지막으로, 일본 사회가 ‘40년에 목표로 하는 사회를 인간 중심으로 다양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인류의 재건·재고에 의한 유연한 사회」로 정의

 

 

■ 우리나라는 ’16년 제5회 과학기술예측조사가 실시되어 ’40년까지의 사회의 미래 변화 전망 및 과학기술 발전 방향을 설정

- 다만, 과학기술예측조사에 대해 보다 많은 경험을 보유한 선진국을 대상으로 벤치마킹을 고려하는 등 예의 주시가 필요한 실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