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미국,원격의료 정책 동향 및 디지털헬스케어 기술동향

  • 등록일2020-04-22
  • 조회수627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4-21
  • 출처
    GT코리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국#원격의료#디지털헬스케어
  • 첨부파일
    • pdf (GT주간브리프-실리콘밸리) 미국원격의료 정책 동향 및 디지털헬... (다운로드 10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글로벌 산업기술 주간브리프 

미국,원격의료 정책 동향 및 디지털헬스케어 기술동향



 COVID-19로 인해 전 세계의 사회모습이 크게 변화되고 있으며, 산업현장에서도 급격한 변화가 생기고 있다. 불과 얼마전까지만해도 엄청난 성장을 거두었던 ‘공유경제’는 큰 위기를 맞고 있으며, 공유경제의 대표격 이었던 Airbnb, Uber, Lyft는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하며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를 준비하고 있다. 반면에   Zoom, Webex, Bluejeans 등 온라인 화상회의, 온라인 교육프로그램(Massive Open Online Course, 이하 MOOCs)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20200422_105710.png


 <그림 1. MOOCs 개념 >


 또한, 그동안 규제 및 신뢰도가 낮아서 활성화되지 못하였던 원격진료부분도 큰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 된다. 미국은 지역별로 의료수준 및 접근성에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1990년도부터 원격진료가 합법화되었으며, 1993년에는 미국원격의료협회(American Telemedicine Association, 이하 ATA)가 설립되었다. ATA에서는 원격의료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미국 주별 의료정책 ·서비스 현황 등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제공하는 동시에 정부에 제도 개선을 건의하는 오피니언 리더로써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COVID-19가 미국내에서 확산되자 지난 2월 말 ATA와 의료정보경영학회(HIMSS) 등은 원격진료에 대한 국민건강보험을 확대해 줄 것을 요구하여 승인을 받았으며, 미국보건국(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에서는 원격진료에 대한 HIPAA* 준수를 한시적으로 완화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페이스타임, 페이스북 메신저 기반 비디오 채팅, 행아웃, 스카이프 등을 이용한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림 2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의료 서비스의 기반이 약한 미국에서의 원격의료시장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해오고 있으며, COVID-19를 통해 미국 국민들의 원격의료에 대한 선호도까지 증가하게 된다면 향후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