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저항성고혈압의 원인, 치료, 임상적 중요성 및 국내 현황
- 등록일2020-05-25
- 조회수397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5-14
-
출처
질병관리본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저항성고혈압
- 첨부파일
저항성고혈압의 원인, 치료, 임상적 중요성 및 국내 현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내과 이찬주, 박성하*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심혈관질환과 이승희, 이정원, 김원호*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심혈관질환과 이승희, 이정원, 김원호*
*교신저자
초록
전체 고혈압 환자 전체 고혈압 환자의 10-20%가 저항성고혈압 환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고혈압 환자들에 비해 저항성고혈압 환자들에서 심혈관질환 발생의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철저한 사전 원인 감별 및 혈압 조절이 필요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저항성고혈압 환자 대상 예방관리,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는 2018년부터 저항성고혈압의 적정 진단 및 관리를 위한 근거 창출을 위해 저항성고혈압 환자 등록사업을 수행 중이다. 본 연구는 국내 12개 기관이 참여하였고, 20세 이상의 저항성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등록을 진행하고 있는 사업으로 대상군에서 약제 사용력, 질병력을 조사하고 혈액 및 뇨 검사를 실시하였다. 진료실 혈압, 24시간 활동 혈압, 가정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각 측정 방법의 목표 혈압기준(진료실 혈압 ‹140/90 mmHg, 24시간 활동 혈압 검사의 낮 시간 평균 혈압 ‹135/85 mmHg, 가정 혈압 ‹135/85 mmHg)에 따라 조절군과 비조절군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2년차까지 등록된 총 420명의 저항성고혈압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0.8세였으며 남자가 239명 (56.9%)이었고, 대사성 질환의 동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진료실 목표 혈압이 140/90 mmHg 미만으로 조절되고 있는 환자는 206명 (49.0%)이었으나 진료실 바깥 목표 혈압이
낮 평균 혈압이나 가정 혈압 중 하나라도 목표 혈압에 도달하지 못한 가면성 비조절 고혈압 환자는 136명 (66.1%)으로 높게 나타났다.
낮 평균 혈압이나 가정 혈압 중 하나라도 목표 혈압에 도달하지 못한 가면성 비조절 고혈압 환자는 136명 (66.1%)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진료실에서 혈압이 잘 조절되는 저항성고혈압 환자라도 진료실 바깥 혈압이 목표 혈압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저항성고혈압 환자에서 적극적인 진료실 바깥 혈압 측정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주요 검색어 : 저항성고혈압, 진료실 혈압, 진료실 바깥 혈압, 심혈관질환
주요 검색어 : 저항성고혈압, 진료실 혈압, 진료실 바깥 혈압, 심혈관질환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