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
- 등록일2020-06-08
- 조회수446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5-27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술사업화#중소기업
- 첨부파일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
-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추진실태와 정책제언 -
안승구 ㆍ박종복ㆍ나영식
[목 차]
I. 문제 제기
II. 중소기업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III.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정책 현황
IV.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에 관한 실태조사 결과 분석
V.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책제언
■ 작성배경
- 정부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기술사업화의 활성화를 위해 중소기업 전용 R&D 2배 확대 등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
- 중소기업에 대한 지속적인 R&D 투자 확대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의 기술수준과 사업화 능력은 정체 상태
- 정부 R&D 지원사업의 높은 성공률 판정에도 불구하고 50% 정도의 기업이 사업화를 추진하지 못해 개발기술을 사장시키는 결과를 초래
- 이에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에 대한 추진실태를 조사하여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 필요
■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실태조사 결과 분석
- (조사방법) 최근 3년 이내에 기술사업화를 추진했거나 추진하고 있는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매출액 발생과제: 396개, 중단과제: 48개) 및 인터뷰(10개 기업) 실시
- (사업화 대상) 최종재, 중간재로 구성된 하드웨어가 소프트웨어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
- (사업화 유형) 매출액 발생 과제는 ‘기존 제품 개선’ 추진의 비중이 높으며, 사업화 중단 과제는 ‘신제품’ 추진 비중이 높음
- (기술획득) 대다수의 과제가 ‘기업 자체 단독 개발’비중이 높아 폐쇄형 기술획득 방식 활용
- (영향요인) 모든 유형에서 매출액 발생과제의 여건이 좋으며, 시장 수요, 제품 경쟁력, 기술 인력, 자금 확보 등에서 기술사업화 격차 발생
- (매출발생률) 자체 R&D 활용이 정부 R&D활용보다 1.92배 많으며, 기업부설연구소 상시 운영인 경우 매출이 더욱 높음
- (지원시책 효과) 수혜빈도가 높고 유용성이 높은 시책은 시제품 개발 및 제작 지원, 수혜빈도가 낮으나 유용성이 높은 시책은 기술도입, 양산화, 시장테스트 등으로 나타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보건의료산업 측면을 중심으로 - [보건복지 Issue&Focus 386호]
-
다음글
- [Future Horizon + : 2020. 제2호 (제45호)] 미래 재난 대비와 대응-무엇이 필요한가? 등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