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보건의료산업 측면을 중심으로 - [보건복지 Issue&Focus 386호]
- 등록일2020-06-11
- 조회수450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5-28
-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의료산업#감염병 관리#생활방역#비대면산업
- 첨부파일
[보건복지 Issue&Focus 제386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 보건의료산업 측면을 중심으로 -
이상영 (보건정책연구실 명예연구위원)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이나 항바이러스제 개발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세계적으로 방역적 긴장 상태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이에 대응하여, 생활 방역과 일차의료에서의 감염병 관리 강화, 비대면 산업 발전 및 생활 방역 기술의 신산업화, k 방역 모델의 글로벌 스탠더드화, 각국의 보건의료체계 복구 지원 및 의료 전략물자 자급 기반 구축 지원, 국제 보건의료 협력 활동의 이니셔티브 확보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
01. 코로나19 감염 상황 전망
◆ 지역사회 신규 확진 상황이 당분간 전반적으로 안정화 추세를 보이겠으나 일부 진원을 중심으로 한 산발적 감염 클러스터 발생이 반복될 것으로 예상됨.
● 이후 추석 연휴, 환절기 등에 따른 신규 확진 증가가 우려되며, 동절기에 들어서는 감기·인플루엔자와의 혼재, 숨은 감염자, 변종 등에 따른 확산이 있을 것으로 우려됨.
● 효과적인 백신 및 항바이러스제 개발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방역적 긴장 상태가 지속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토착화될 가능성도 존재함.
◆ 세계적으로는 전반적으로 증가세가 둔화될 것이나 현재의 대유행 국가 외에 나머지 국가에서 신규 확진자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들 국가가 감염 확산세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되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전망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