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분야별 이질성을 고려한 기초과학분야 정부 R&D 투자의 생산성 분석연구

  • 등록일2020-06-17
  • 조회수399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5-29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초과학분야#R&D
  • 첨부파일
    • pdf (BC19050_양은진)_20.05.28_분야별 이질성을 고려한 기초과학분야... (다운로드 4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분야별 이질성을 고려한 기초과학분야 정부 R&D 투자의 생산성 분석연구

 

양은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한웅용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박창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문관리원)

성민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김은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위촉연구원)

 

요약문

 

I. 서론

◎ 전세계적으로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기초과학분야 연구의 중요성이 커지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정부의 기초과학분야 R&D 투자는 소극적

- 기초단계 연구비 투자는 지속적으로 확대('14년 4.576억원)되어 온 반면 기초과학분아 투자는 감소


◎ 기초과학분야 연구개발 역랑의 지속적인 향상을 위하여 정부R&D의 정책수단 다련을 위한 기초 작업 필요

- 순수기초연구비 부족, 재원배분의 불균형, 지원방식의 비효율, 투자전략 미스매치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가운데 학문분야별 특성을 반영한 연구지원에 대한 요구 증가
- 자연과학분야에서 특히 연구분야별 새원 편중에 대한 문제의식이 강하게 나타나며, 소외분야 발굴 확대 및 지원 분야 다양성 강화 등 연구 다양성 제고의 필요성 증가
- 기초과학은 기초연구의 정책 대상으로 편입되어 분야 특성을 고려한 통합적인 지원정책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
 

◎ 정부R&D 투자의 성괴를 진단하고 학문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기초과학분야 지원정책 수립의 기빈 마련을 위한 실증 분석이 필요한 시점
 
◎ 본 연구는 2018년도에 수행한 정부 연구개발 생산성 측정에 관한 연구의 후속 연구(진영현, 2018)로서, 당시 최종 대안으로 도출한 3개의 방법론 중 한 가지 방법론을 적용하여 실중 분석을 수행
- 기초과학분야 정부R&D 생산성 측정을 통해 학문분야별 투입. 성과. 생산성의 특징을 분석하고.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 이를 위하여, 정부R&D 과제를 기초과학. 의학, 공학의 3개 그룹으로 나누어 논문 및 특허 성과를 바탕으로 그룹 간 생산성지수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 기초과학 그룹 내 세부분야 간 논문 성과를 바탕으로 생산성지수를 비교 분석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