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독일의 Covid-19 대응 정책 및 기술 현황
- 등록일2020-06-18
- 조회수397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6-12
-
출처
GT코리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Covid-19#대응 정책
- 첨부파일
[KIAT ISSUE PAPER]
독일의 Covid-19 대응 정책 및 기술 현황
[목 차]
주요 내용 요약
1. 독일의 Covid-19 관련 주요 현황
2. Covid-19 관련 기초 연구개발
3. Covid-19 관련 응용 연구개발
4. 시사점 및 협력 가능 분야
5. 결론
주요 내용 요약
□ 유럽 및 독일은 Covid-19 초기 상황 당시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이에 초기 대응이 늦어지게 되었으나 3월 이후 봉쇄령과 같은 강력한 대응을 시작
o 2020년 3월 ~ 4월 독일의 하루 확진자 수는 6천여 명을 기록했으나, 강력한 대응의 효과로 6월 초 현재 하루 확진자 수는 400명 이하로 하락
□ 유럽연합(EU) 및 독일 정부는 Covid-19에 대한 기초 및 응용연구 지원을 적극 추진하며 Covid-19 백신, 치료제 및 진단 키트 등 개발에 주력
o EU가 주도한 글로벌 Covid-19 공동 대응을 위한 모금 활동을 통해 약 100억 유로의 모금액을 달성 및 EU 연구 프로젝트에 10억 유로 규모의 연구개발 지원금을 편성
o 독일 연방교육부 및 연구협회는 연구비 증액과 Covid-19 관련 신규 연구 프로 젝트 지원을 결정하고, Covid-19 대응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등에 투자 확대
o 독일 정부출연연구소와 4대 연구협회 또한 Covid-19 관련 다양한 개별 및 공동 연구를 통해 전염병 진단, 예방, 치료에 대한 연구 활동을 활발히 수행 중
□ 독일 산업계는 유럽 및 정부 차원의 지원과 산학협력 모델 및 자체 노하우를 기반으로 Covid-19 대응 제품 개발에 주력
o 베를린 대학병원에서 전 세계 최초로 Covid-19 진단법을 개발하였으며, 그 이후 우수한 독일 진단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최신 진단 기기들을 개발 및 출시
o mRNA 기반 새로운 백신 및 치료제 기술에 있어 선두적인 역량을 갖춘 독일 기업들이 다수 존재하며, 이들의 항체 활용 기술력 또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됨
o 독일은 Covid-19 확진자 추적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하는 등 최신 IT 기술을 활용 하여 Covid-19에 대응하고자 하나, 개인정보 보호 정책에 따라 그 효과는 제한 적일 것으로 예상
□ Covid-19 2차 확산에 대비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복합적인 진단법 및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요구됨
o 이를 기회로 한-독 우수 산학연 간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하여 한국의 뛰어난 기술력을 알리고, 공동 연구개발 협력을 통한 성과 창출 도모 가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