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WHO, 나노물질 노출과 관련된 면역 독성 위험의 평가 원칙과 방법 보고서 발표' 등, 글로벌 나노정책 및 기술동향 [2020년 5월호]
- 등록일2020-06-19
- 조회수388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6-08
-
출처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물질#나노기술#피부흡수
- 첨부파일
[글로벌 나노정책 및 기술 동향 No. 28, 2020년 5월호]
WHO, 나노물질 노출과 관련된 면역 독성 위험의 평가 원칙과 방법 보고서 발표 등
[목 차]
I. 주요 동향
1. 국외 주요 동향
ㆍ유럽 ▶ 나노물질의 피부 흡수에 대한 연구수행 보고서 발간
ㆍ중국 ▶ 닝보시, 신소재 산업 발전을 위한 '소재 특성 측정 및 평가 플랫폼' 구축
▶ 2019년 과학기술부 기초과학 연구 중점추진 제안에 대한 조치
ㆍ일본 ▶ 머티리얼 혁신역량강화 전략 수립을 위한 회의 개최
▶ 전략적 이노베이션 창조 프로그램(SIP)
ㆍ기타 ▶ WHO, 나노물질 노출과 관련된 면역 독성 위험의 평가 원칙과 방법 보고서 발표
▶ 인도, 코로나19에 대응하여 나노코팅에 대한 단기 연구 보조금 발표
▶ NST, '치매부터 블랙홀까지' 정부출연연구기관 10대 우수성과 선정
▶ 정출연법 개정안 국회통과-핵융합연ㆍ재료연 '연구원' 승격
▶ R&D 예타 대상선정 평가 과기혁신본부 3개국 모두 참여
▶ 제4차 소재ㆍ부품ㆍ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공공연구기관을 통한 기업지원 강화방안 확정
▶ 100대 핵심기술 자립 목표 산학연 융합 연구단 9곳 출범
1. 국외 동향
2. 국내 동향
2018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6T분야)
WHO, 나노물질 노출과 관련된 면역 독성 위험 평가의 원칙과 방법 보고서 발간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엔지니어링 나노물질(Engineered Nano Materials, ENM)과 관련하여 면역 독성과 관련한 보고서, '환경 건강 기준 244(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244)'를 발간함
○ 엔지니어링 나노물질(ENM)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나노기술 제품에 적용되고 있음
- 화장품 및 식품과 같은 소비자 제품
- 비료
- 방출시 신체의 새로운 구조로 조립되는 합성 장기 또는 공학적 미생물, 또는 자가 조립 물질
- 유전자 요법에 사용되는 분자 장치 등
○ 제도공정 및 전문가 용도, 소비자 제품 사용 또는 유출로 인해 환경에 ENM 자체, 또는 물질이 포함된 형태가 노출됨
- ENM은 인간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면역계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음
- 지난 20년 동안 수행된 광범위한 연구에 따르면 ENM의 화학 반응성뿐만 아니라 크기, 모양 및 표면 특성이 생물학적 시스템과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침
○ 보고서에 따르면 ENM에 의해 유발되는 면역 독성의 원리와 기본 메커니즘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와 증거 및 개요를 제시함
- 다양한 ENM이 신체의 면역 시스템에 미치는 유해성 및 위험 평가를 위한 원칙과 방법에 대한 지침이 제공
- 주요 세포 유형 및 세포 요소와 인간 면역 시스템의 기능이 서술
- 세포 및 면역 시스템의 요소에 대해 다양한 ENM의 영향에 관한 정보가 제공
※ 출처 : 세계 보건기구(WHO)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기술동향 일본 JST, ‘나노기술·재료분야 연구개발 부감 보고서(2024년) 발간 2024-12-18
- 제도동향 유럽연합 SCCS, '화장품 내 나노물질 안전성 평가에 대한 지침' 발간 2024-11-22
- 기술동향 DNA 기반 데이터 저장·계산 기술 개발 2024-10-23
- 기술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4년 7월호] OECD, '첨단재료:나노캐리어 사례 연구' 워크숍 보고서 발간 2024-08-19
- 제도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No.77] 미국 NNCI, '미래 나노기술 인프라에 대한 워크샵' 보고서 발간 2024-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