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18년 한국의 과학기술논문 발표 및 인용 현황 - [K-브리프] 2020년 제5호
- 등록일2020-06-23
- 조회수438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6-17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논문#인용 현황#K-브리프
- 첨부파일
[KISTEP 통계브리프 2020년 제5호]
2018년 한국의 과학기술논문 발표 및 인용 현황
유현지 전문관리원 (KISTEP 혁신정보분석센터)
[목 차]
1. 개요
2. 국가별 SCI 논문 발표 현황
3. 한국 SCI 논문 발표 현황
4. 한국 SCI 논문 피인용 현황
5. 한국 분야별 SCI 논문 수
6. 정리 및 시사점
1. 개요
2. 국가별 SCI 논문 발표 현황
3. 한국 SCI 논문 발표 현황
4. 한국 SCI 논문 피인용 현황
5. 한국 분야별 SCI 논문 수
6. 정리 및 시사점
1. 개요
▶ KISTEP과 KAIST에서는 매년 Clarivate Analytics 과학인용색인(SCI, Science Citation Index)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SCI 논문 현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발표
▶ KISTEP과 KAIST에서는 매년 Clarivate Analytics 과학인용색인(SCI, Science Citation Index)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SCI 논문 현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발표
◎ 국가 간, 분야 간 비교에는 Incites(National Comparison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으며, 한국 상세분석에는 WoS(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 Incites : 국가별, 분야별 논문 수와 피인용 통계 자료 산출에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220개국, 22개 표준분야, 252개 세부분야 통계 산출에 활용
* Incites : 국가별, 분야별 논문 수와 피인용 통계 자료 산출에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220개국, 22개 표준분야, 252개 세부분야 통계 산출에 활용
◎ 논문 인용(Citation) 분석에는 JCR(Journal Citation Report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JCR : 학술지별 질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IF(Impact Factor)를 산출하는 데이터베이스
*JCR : 학술지별 질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IF(Impact Factor)를 산출하는 데이터베이스
▶ 이번 호에서는 KISTEP·KAIST가 최근 발간(2019.11월)한 과학기술논문(SCI) 분석 연구 보고서의 한국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정리·분석
※ SCI 데이터베이스 포함된 과거 자료는 분석 시점에 따라 동일 국가, 년도 분석결과가 변할 수 있음
※ SCI 데이터베이스 포함된 과거 자료는 분석 시점에 따라 동일 국가, 년도 분석결과가 변할 수 있음
2. 국가별 SCI 논문 발표 현황
▶ ’18년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국가는 미국이며, 국가별 총 발표 논문의 17.8%(450,352편)
◎ 1위국 미국 SCI 논문 수는 전년도 460,899편에 비해 2.3% 감소
▶ ’18년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국가는 미국이며, 국가별 총 발표 논문의 17.8%(450,352편)
◎ 1위국 미국 SCI 논문 수는 전년도 460,899편에 비해 2.3% 감소
▶ ’18년 논문발표 상위 10개국 총 논문 수는 1,583,474편으로 전년대비 2.4% 증가
◎ 상위 10개국이 국가별 총 발표 논문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62.6%이며, 전년과 유사한 수준
◎ 상위 10개국이 국가별 총 발표 논문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62.6%이며, 전년과 유사한 수준
▶ 세계 상위 10위권 국가는 전년과 동일하며, 한국은 12위 차지
◎ 상위 10개국 중 4개국(중국, 이탈리아, 인도, 호주)은 전년대비 논문 수가 증가한 반면, 6개국(미국, 영국, 독일, 일본, 프랑스, 캐나다)은 전년대비 논문 수가 감소
◎ 한국은 ’18년 12위로 전년도 순위를 유지하였으며, 논문 수는 전년대비 3.5% 증가
◎ 상위 10개국 중 4개국(중국, 이탈리아, 인도, 호주)은 전년대비 논문 수가 증가한 반면, 6개국(미국, 영국, 독일, 일본, 프랑스, 캐나다)은 전년대비 논문 수가 감소
◎ 한국은 ’18년 12위로 전년도 순위를 유지하였으며, 논문 수는 전년대비 3.5% 증가
▶ 상위권 국가 중 중국의 전년대비 논문 수는 큰 폭으로 증가(14.3% 증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