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제168호 과학기술&ICT 동향
- 등록일2020-06-29
- 조회수407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6-08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ICT#디지털 헬스케어
- 첨부파일
제168호 과학기술&ICT동향
[목 차]
① 이슈 분석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헬스 산업 동향
②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트럼프ㆍ바이든 기술 정책 비교
미국, 중국 우주 활동 분석 및 대응방안 제시
일본, 디지털 전환을 통한 스마트시티 실현 방안 발표
일본, 소재기술 혁신을 위한 추진방향 논의
중국, 인공지능 분야 기업 경쟁 구조 분석
중국, 2020년 지식재산권 강국 건설 추진계획 발표
영국, COVID-19 관련 연구혁신 핵심 이슈 도출
독일, 국가 연구혁신 경쟁력 제고방안 제시
2. ICT
코로나19를 계기로 '비대면 의료 서비스' 확대 논의 탄력
TSMC, 美에 생산거점 마련...화웨이 제재강화 맞물려 업계 촉각
데이터 경제 활성화 위해 금융분야 '데이터 거래소' 출범
글로벌 5G 공급망 혁신 위해 협의체 출범...삼성전자 합류
AI 스피커 시장, 지속 성장 속 미국ㆍ중국 기업이 압도
중국의 블록체인 육성정책 최근 동향
③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④ 주요 통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헬스 산업 동향
1. 디지털 헬스 정의와 대두 배경
▶디지털 헬스란 의료와 ICT가 융합된 新산업ㆍ기술
ㅇ 의료와 ICT 산업이 융합된 신산업을 가리켜 e헬스, u헬스, 모바일 헬스케어, 스마트 헬스케어, 디지털 헬스케어 등의 여러 용어로 부르고 있으니, 정확한 개념 구분없이 사용 중
ㅇ 본 보고서에서는 의료+ICT 융합을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라는 용어로 부르고자 하며, 디지털 헬스란 「의료 질 향상과 의료비 절감을 위해 의료와 ICT가 융합해 개인의 건강과 질병을 관리하는 산업ㆍ기술」이라고 정의
- 디지털 헬스는 e헬스, u헬스, 모바일 헬스케어, 스마트 헬스케어 등을 모두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
- 사전적으로는 '디지털 헬스케어'라고 부르는 것이 옳으나, WHOㆍFDAㆍOECD 등 여러 국제기구들에서는 현재 디지털 헬스라는 용어를 공식 사용 중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과학기술 정책 - 생명과학ㆍ임상의학 [NRF R&D Brief-2020-10]
-
다음글
- 국내 다중이용시설 유래 레지오넬라 환경균주의 분포양상 분석, 2018∼2019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