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일반 동시분류의약품 사후평가: 히알루론산 점안제 중심으로
- 등록일2020-07-02
- 조회수378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5-31
-
출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동시분류의약품#사후평가
- 첨부파일
전문일반 동시분류의약품 사후평가 渗 : 히알루론산 점안제 중심으로
신상진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경제성평가연구단 연구위원)
요약문
연구배경 및 목적
국내 건강보험 급여등재의약품인 히알루론산 점안제의 적절한 사후관리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와 함께 전문일반 동시분류의약품이라는 제도적 특성으로 인해 히알루론산 점안제에 대한 검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배경으로 보건의료 정책결정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론을 통해 안구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다른 약물치료 대비 히알루론산 점안제의 임상적 효과성을 평가하고 둘째, 해당 의약품의 건강보험급여정책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외국들에서의 히알루론산 점안제에 대한 관련 급여정책을 고찰하였다.
국내 건강보험 급여등재의약품인 히알루론산 점안제의 적절한 사후관리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와 함께 전문일반 동시분류의약품이라는 제도적 특성으로 인해 히알루론산 점안제에 대한 검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배경으로 보건의료 정책결정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론을 통해 안구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다른 약물치료 대비 히알루론산 점안제의 임상적 효과성을 평가하고 둘째, 해당 의약품의 건강보험급여정책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외국들에서의 히알루론산 점안제에 대한 관련 급여정책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안구건조증에서 다른 치료약제 대비 히알루론산 점안제의 임상적 효과성은 어떠한가?" 에 대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 근거를 살펴보았다 문헌검색은 국내 3개 및 국외 5개 DB를 이용하였으며 사전 결정한 문헌선택기준에 따라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문헌을 검토한 뒤 의견일치를 통하여 최종문헌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문헌들의 비뚤림 위험평가는 Cochrane Risk of Bias (RoB) 도구를 사용하였다 양적 합성이 가능한 경우 메타분석을 수행하였고 합성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는 질적 서술을 하였다. 결과지표는 눈물막파괴시간(TBUT), 쉬르머검사(Schirmer’s test), 증상(Symptom), 각ㆍ결막염색검사점수(Ocular staining score)을 포함하였다.
“안구건조증에서 다른 치료약제 대비 히알루론산 점안제의 임상적 효과성은 어떠한가?" 에 대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 근거를 살펴보았다 문헌검색은 국내 3개 및 국외 5개 DB를 이용하였으며 사전 결정한 문헌선택기준에 따라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문헌을 검토한 뒤 의견일치를 통하여 최종문헌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문헌들의 비뚤림 위험평가는 Cochrane Risk of Bias (RoB) 도구를 사용하였다 양적 합성이 가능한 경우 메타분석을 수행하였고 합성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는 질적 서술을 하였다. 결과지표는 눈물막파괴시간(TBUT), 쉬르머검사(Schirmer’s test), 증상(Symptom), 각ㆍ결막염색검사점수(Ocular staining score)을 포함하였다.
해외국가들에서의 히알루론산 점안제 관련 급여정책을 조사하기 위해 호주, 영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캐나다, 미국의 관련 자료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조사 및 웹조사를 기본으로 수행하였으며, INAHTA (International Network of Agencies for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HTAsiaLink 및 의 국제협력네트워크 회원기관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보완적으로 수행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