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지역특화작목 육성 및 활성화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등록일2020-07-07
- 조회수398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6-26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지역특화작목#예비타당성
- 첨부파일
2019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지역특화작목 육성 및 활성화 사업
[목 차]
제1장 사업 개요 및 조사방법
제2장 기초자료 분석
제3장 과학기술적 타당성 분석
제4장 정책적 타당성 분석
제5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제6장 종합분석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요 약>
제1장 사업 개요 및 조사방법
1. 일반사항
□ 사업정의 :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활동과 연관된 지역의 혁신 주체들의 연구 및 인 프라 지원을 통해 작목생산자의 소득을 증대하기 위한 사업
□ 사업비전 : 수요 부응·미래 대응의 경쟁력 높은 지역특화농업 활성화
□ 사업목적 : 지역특화농업을 활성화시켜 지역경제발전과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다채로운 특화농산물로 국민 먹거리 선택권 안정화를 도모
□ 사업목표
□ 사업비 : 총 8,714.8억 원(국고 8,714.8억 원)
□ 사업기간 : 2021 ~ 2028년 (2단계, 총 8년)
□ 사업추진체계
○ 주무부처 :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과
○ 농촌진흥청이 총괄하며, 하부에 사업운영지원단(중앙), 특화작목연구단(지방)을 구
성하여 운영
2. 사업 구성
□ 연구개발 : 5,057.4억 원(국고 5,057.4억 원)
□ 시설구축 : 973.5억 원(국고 973.5억 원)
○ 특화작목연구소 : 47개 특화작목연구소에 총 206개의 시설
○ 도농업기술원 : 9개 도농업기술원 중 6개 도농업기술원에 총 39개의 시설
□ 장비구축 : 652억 원(국고 652억 원)
○ 총 986개 장비(지역특화작목연구소 618개, 도농업기술원 368개)
- 지역특화작목연구소 : 1억 원 이상 84개, 3천만 원 이상 1억 미만 177개, 3천만 원
이하 357개
- 도농업기술원 : 1억 원 이상 83개, 3천만 원 이상 1억 미만 182개, 3천만 원 이하
103개
□ 주요내용
- 거점특화 강화사업 : 수요 다변화 및 미래 수요에 부응하는 지역특화농업을 선도 하기 위하여 특화작목연구소의 거점특화 역량을 강화
· 전국 47개 특화작목연구소를 수행주체로 3개의 정책패키지 사업으로 구성하여 특 화작목연구소당 평균 108.3억 원을 투자(연평균 13.5억원)
※ 특화작목연구개발(S/W)에 57%, 특화연구기반(H/W)에 23%, 산학연협력단(M/W)에 19%의 사업비 투자계획 제시
- 특화기반 조성사업 : 수요광역-기초를 아울러 농업 특화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도 농업기술원 기반조성 및 지역주도 역량 강화
· 9개 도농업기술원을 수행주체로 하여 3가지 지원사업을 구성함
※ 연구개발/기반 사업에 70%, 조사/분석 사업에 10%, 교육/아웃리치 사업에 20%의 사업비 투자계획 제시
- 기초특화 육성사업 : 시·군 기초 단위 지역 특화농업의 연구·혁신역량 육성 및 현장 애로 해결형 자기주도 연구 활성화를 통한 현장 최밀착의 연구·혁신 생태 계 저변 강화
· 사업은 156개 시·군농업기술센터 등 기초 시·군 단위의 지역농업 연구기관이 참 여하는 기관형 과제와 농업인(단체) 등 현장 농업연구 수요자가 참여하는 농업인형 과제로 구성
※ 기관형 과제에 57%, 농업인형 과제에 43%의 사업비 투자계획 제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