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보건의료분야 현안에 대한 즉시 대응 체계 구축

  • 등록일2020-07-08
  • 조회수387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5-31
  • 출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의료#대응 체계
  • 첨부파일
    • pdf 보건의료분야 현안에 대한 즉시 대응 체계 구축(미표지) (3).pd... (다운로드 5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보건의료분야 현안에 대한 즉시 대응 체계 구축
 
김주연(한국보건의료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 연구위원)
 
 
[목  차]
I. 연구개요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찰 및 결론
V. 참고문헌
VI. 부록
 
 
 
□ 연구 배경
보건의료 관련 사회적 이슈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슈발생 시 검증되지 않은 부정확한 정보가 SNS 등을 통해 확산되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을 증대시켜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보건의료 사회적 이슈가 발생 시, 법 허용 범위 안에서 정부의 규제로 대처가 가능한 경우도 있으나, 정부 및 보건당국의 적절한 대응이 미흡하여 국민들의 불안이 가중되었던 경우도 있었다. 이는 정확한 정보를 시의 적절하게 전달하는 주체가 ㅇ벗기 때문이며, 보건의료분야는 전문가와 일반인간 정보비대칭이 심화되어 있는 분야이므로, 일반인들에게 정확한 보건의료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미국의 AHRQ, VHA, CADTH, 캐나다의 Cochrane, WHO 등 많은 국제 기관들은 보건의료 제공자 및 정책 결정자들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신속문헌고찰 등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시의적절한 보건의료관련 정보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Cochrane의 경우, 신속문헌고찰 방법론적 연구 및 개발을 위한 별도의 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신의료기술평가사업외에 근거 기반 의학(Evidence-Based Medicine)을 기반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는 전문기관이다. EBM 연구는 연초에 과제계획서를 작성하고 위원회 심의를 거쳐 과제가 선정되며, 연구결과도 위원회를 통한 심의를 거쳐야 한다. 심의가 완료된 후에야 배포 및 가공이 가능하다. 이는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수행되므로, 보건의료관련 긴급한 현안 발생 시, 현재 상황에서 수시로 발생되는 보건의료관련 문제에 대한 시의 적절한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 연구 목적
보건의료 사회적 이슈에 대하여 빠른 시간내에 관련 근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NECA에서 수행 가능한 사회적 현안에 대한 즉시 대응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연구 방법
 
 
1. 보건의료분야 최근 이슈사항 조사 방법
연간 발생하는 국내ㆍ왼 보건의료분야의 이슈사항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여 발생건수 및 발생하는 이슈에 대한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보건”과 “의료”라는 키워들ㄹ 중심으로 최근 1년간(2018년 5월 1일 ~ 2019년 4월 30일) 발생한 보건의료분야 이슈사항을 조사하였다.
 
 
2. 주제선정 방법
사회적으로 보건의료분야에서 국민,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사이에서 이슈들이 많이 발생하며 많은 이슈들 중 정확한 정보 제공 목적으로 주제를 선정하였다. 주제선정 방법은 크게 상향식 주제 발굴(Bottom-up)과 하향식 주제 발굴(Top-down) 2가지로 구분하였다. 선정된 주제에 대해서는 각 주제별 적합한 문헌검색 전략을 수립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여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보험현화조사는 전문조사업체에 의뢰하여 진행하였으며, 혁신의료기술이 임상현장에 진입하는 제도적 장치나 혁신의료기술에 대한 별도 절차 등이 없는 경우, 어떠한 과정을 거쳐 실제 임상현장에 도입이 되는지를 조사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