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KBCH 브리핑] 합성생물학과 생물다양성협약(CBD)
- 등록일2020-08-03
- 조회수403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7-21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합성생물학#생물다양성협약
- 첨부파일
[KBCH 브리핑]
합성생물학과 생물다양성협약
전미희 (KBCH)
※ 이 브리핑은 생물다양성협약에서 합성생물학과 관련한 국제적 논의가 어떠헥 이루어지고 있는지 CBD사무국과 일본 JBA(바이오인터스트리협회) 등에서 나온 각종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합성생물학의 급속한 발전과 영향
□ 합성생물학은 "만들고 조사하는 생물학"으로, 기존에는 비용과 기술적인 제약으로 하나하나 분해해 조사하는 Top-Down(해석적, 환원적) 접근방식이 주류였다면 → 과학기술의 발달로 생명을 구성하는 DNA와 단백질 등의 구성요소(부품)를 디자인하고 창조해 나가는 Bottom-Up(구성적, 합성적) 접근방식으로 변화ㆍ발전 중
* 출처: Benchmarking Report on Synthetic Biology,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y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JST CRDS), 2010.3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비용편익분석: '합성생물학 개발·실험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2024-10-07
- BioINwatch 합성생물학과 생체전자공학이 융합한 Living drug 2024-07-09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