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08-2018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실적 비교분석 보고서
- 등록일2020-08-04
- 조회수461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7-21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피인용 논문#논문실적
- 첨부파일
2008~2018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 1%논문실적 비교분석 보고서
[Contents]
요약문
I. 서론
II. 분석 개요
III. 분석 데이터의 이해
IV. 피인용 상위 1% 논문 국제비교
V.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요약문
1. 분석 목적
□ 고 피인용 논문(피인용 상위 1% 등) 산출실적에 대한 국제비교를 통해 우리나라기초·원천연구의 수준과 역량을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2. 분석 대상
□ 최근 11년 간(2008~2018년) 발표된 SCI 논문 중 피인용 상위 1% 논문(HighlyCited Paper) 155,153건 (ESI 2019.03. 기준)
※ 본 보고서에 수록된 고 피인용 논문은 최근 11년 동안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22개 분야 및연도별 피인용수를 기준으로 추출함 (ESI: Clarivate Analytics 社 Essential Science Indicators DB)
□ 피인용 상위 1% 논문수 상위 20개국 중심으로 비교·분석
3. 분석 결과
□ 우리나라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수는 세계 15위(교신저자 기준 세계 13위)
• 최근 11년 간 4,692건(점유율 3.0%)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을 게재함
- 이 중 교신저자가 한국기관 소속인 논문은 2,362건(점유율 1.52%)으로 세계 13위
- 한국의 최근 11년간 상위 1% 논문 점유율이 3%에 달함. 이는 한국의 질적 연구 성장을 의미함
• 미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은 76,266건으로 점유율이 49.2%에 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