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BIO ECONOMY BRIEF] 약물 재창출(Drug Repositioning)을 활용한 코로나19 치료제 현황

  • 등록일2020-08-05
  • 조회수558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7-28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약물재창출#코로나19
  • 첨부파일
    • pdf [BIO ECONOMY BRIEF] 90호_약물 재창출을 활용한 코로나19 치료제... (다운로드 193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BIO ECONOMY BRIEF]

 

약물 재창출(Drug Repositioning)을 활용한 코로나19 치료제 현황

 

김준 차장(정진특허법률사무소)

조영우 부사장(독립바이오제약)

 

□ 약물재창출 개요

신약 후보물질의 고갈, 개발 비용의 증가에 따른 R&D 생산성 저하로 인해 선진국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약물 재창출에 주목하고 있음.약물 재창출은 이미 시판 중이거나 임상단계에서 상업화에 실패한 약물을 대상으로 새로운 적응증을 규명해 신약으로 개발하는 방법으로 기존 신약 개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도 신속하게 신약을 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그림 1] 통상적인 신약 개발 vs 약물 재창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24c276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77pixel, 세로 859pixel

출처: TT Ashbum et al., Drug repositioning: identifying and developing new uses for existing drugs, Nature Rev. Drug Discov(2004)

 

미국 NIH는 국립첨단중개과학연구센터(NCATS)를 통해 `12년 ‘기존 약물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NTU)’ 사업을 출범하여 글로벌 제약사의 신약 후보물질 중 개발이 중단된 물질을 대상으로약물 재창출 프로젝트를 진행 중임.영국 연구위원회(RCUK) 산하 의학연구위원회(MRC)는 ‘12년 아스트라제네카가 보유한 신약후보물질을 기반으로 새로운 적응증을 발굴하는 연구 사업을 출범하였음.국내 역시 `19년 연구자가 약물 사용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 현장에서 발굴해 낸 약물 재창출 가능 의약품에 대해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를 지원하고 공공기관 중심의 약물 재창출 연구 기반을조성하는 등 다양한 방면으로 약물 재창출 연구를 지원하고 있음.특히 최근 들어 코로나19가 전 세계 확산으로 인하여 빠른 치료제 개발에 필요함에 따라 기존약물을 활용하는 약물 재창출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음.그리하여 본 고에서는 약물 재창출을 활용한 코로나-19 치료제 현황을 살펴보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