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20-11] 코로나19 대응 주요국의 R&D 및 관련 전략 분석과 시사점

  • 등록일2020-08-13
  • 조회수468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8-11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
  • 첨부파일

 

[KISTEP Issue Paper 2020-11]

 

코로나19 대응 주요국의 R&D 및 관련 전략 분석과 시사점

 

Ⅰ. 작성 배경

Ⅱ.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

Ⅲ. 코로나19 대응 주요국의 R&D 및 관련전략

Ⅳ. 코로나19 대응 우리나라의 R&D 및 관련전략

Ⅴ. 향후 국가 R&D 및 관련 전략 방향

Ⅵ. 맺음말

[참고문헌]

 

[요  약]

 

□ 작성 배경

ㅇ 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적 피해와 함께 생산과 소비를 위축시키는 등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초래

ㅇ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 모습을 조망하고, 주요국의 R&D 및 관련 전략 분석을통해 이에 대응하는 국가 전략의 향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주요국의 코로나19 대응 R&D 및 관련 전략

ㅇ 미국, 독일, 영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의 코로나19 대응 R&D 및 관련 전략과 OECD의코로나19 대응 주요 지침 그리고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대응 현황을 분석

ㅇ 주요국들의 경우 코로나19 대응 R&D 및 관련 전략은 최근 ‘이후 코로나19(postCOVID-19)’와 함께 ‘더불어 코로나19(with COVID-19)’의 관점을 반영하는 전략을추구하고 있음

ㅇ 주요국의 R&D 및 관련 전략 분석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코로나19 적극 대응, 새로운민관 협력 전략 추구, 국가 회복력 강화, 국방 부문과 연계, 디지털 전환 촉진, 원격진료확대, 국내 자급 공급망 구축, 중소기업 적극 지원, 국제협력의 중시 등임

ㅇ 한편, OECD는 각국의 의료 R&D 정책 조정, 오픈 사이언스 강화, 크라우드 소싱 등을통한 국가 과학기술정책의 재조정을 제시

 

□ 결론 및 시사점주요국들의 코로나19 대응 R&D 및 관련 전략을 토대로 우리나라 R&D 및 관련 전략의지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함

- 공공 R&D 투자의 대응성 강화와 포용성 확대, 국가 우선순위 분야의 전략성 강화, 복원력확보 수단으로 공공 R&D 활용, 新산・학・연・관 협력체계 구축・운용, 국내 자급 공급망확충, 국방 부문과 적극 연계, 적극적 국제 협력 및 정보 공유 추진 등임

 

※ 본 이슈페이퍼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공식 의견이 아닌 필자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