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GOARN) 소개
- 등록일2020-08-19
- 조회수356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7-30
-
출처
질병관리본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국제유행경보#GOARN#감염병 유행
- 첨부파일
[주간 건강과 질병ㆍ제13권 제31호]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GOARN) 소개
김인호, 이선규*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센터 위기분석국제협력과)
*교신저자
초록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전 세계에 감염병 유행이 발생했을 때 현장으로 신속하게 전문가를 파견하기 위해 만들어진기관들 간의 네트워크이다.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의 가장 큰 목적은 현장으로 전문가를 신속하게 파견함으로써 현지 대응 역량이 부족한 국가의질병관리를 돕고, 유행 상황에 대한 정확한 조사 및 평가를 통하여 추가적인 확산을 막고 해당 국가가 상황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에 있다.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는 2000년 60개의 파트너 기관으로 공식 출범한 후 지난 20년간 90개국 이상, 150개가 넘는 감염병 유행상황을 대상으로3,000명에 가까운 전문가를 현장으로 파견하였다. 주로 역학 및 감시전문가가 전체 파견의 약 1/3을 차지할 정도로 관련 수요가 많은 상황이다. 2017년에만들어진 발전방향을 바탕으로 운영 중인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는 세계보건기구의 틀 안에서 기존의 세계보건기구가 구축해 놓은 지역사무소,국가사무소의 인력과 자원을 활용하여 감염병 유행 현장대응을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창구임에는 틀림이 없다.
주요 검색어 :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 감염병 유행, 파견, 현장 대응
들어가는 말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Global Outbreak Alert and Response Network, GOARN)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전 세계에 감염병 유행이 발생했을 때 현장으로 신속하게 전문가를 파견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들 간의 네트워크이다. 2000년에 공식으로 출범을 하였으며, 전 세계 UN기구, 국제기구, 전문기관, 네트워크, 비정부기구(NGO), 학계 등이 참여하여 감염병 유행에 대한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일명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라 불리기도 한다. 다양한 감염병 유행 발생에 대하여 이에 맞는 적절한 분야의 전문가를 신속하게 파견하여 현장에서의 기술적 대응을 돕고, 파트너 기관들 간의 협력을 조율함으로써 발생 국가의 대응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네트워크는 약 20여명의 조정위원회 위원을 선출하여 1년에 두 번 회의를 개최하여 네트워크의 저반적인 운영 방향 및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WHO는 사무국을 운영함으로 GOARN의 원활한 운영을 돕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의 전반적인 운영절차 및 업무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하였다.
몸 말
1.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의 구성 및 운영절차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Global Outbreak Alert and Response Network, GOARN)의 가장 큰 목적은 현장으로 전문가를 신속하게 파견함으로써 현지 대응 역량이 부족한 국가의 질병관리를 돕고, 유행 상황에 대한 정확한 조사 및 평가를 통하여 공중보건위험을 줄이며 해당 국가가 상황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에 있다.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GOARN)를 상징하는 로고는 항상 주황색 배경 또는 글자를 사용하고 있다(그림 1). 2000년 60개의 파트너 기관으로 공식 출범한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는 2019년까지 총 230여개의 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거대한 네트워크로 성장하였다. 파트너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해당 기관이 감염병 유행관련 어떤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와 관련 서류를 제출하여 별도의 심사를 거쳐서 선정되면 파트너기관으로 국제유행경보대응네트워크에 속할 수 있다. 지금까지 파견자 수를 바탕으로 본 이 네트워크의 주된 파트너 기관으로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캐나다 공중보건국(PHAC), 국경없는 의사회(MSF), 국제설사성질환연구센터(ICDDR), 프랑스 공중보건청(Sante publique France), 영국 공중보건국(PublicHealth England), 유행질환 임상평가 및 대응 네트워크(EDCARN), 유럽 CDC, 유럽역학조사관훈련프로그램(EPIET), 영국 공중보건신속대응팀(UK Public Health Rapid Support Team), 파스퇴르연구소(Institut Pasteur), 호주 대응 네트워크(ARM network),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등이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