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백신 보관 및 수송 관리 가이드라인[민원인 안내서] 개정
- 등록일2020-09-02
- 조회수596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7-22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백신#보관#수송
- 첨부파일
백신 보관 및 수송 관리 가이드라인
(제조ㆍ수입ㆍ도매ㆍ의료기관용)
I. 개요
1.1 배경 및 목적
백신의 경우, 생산·수입에서부터 유통, 보관 및 최종 사용에 이르기까지 적정 보관온도를 항상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백신 콜드체인은 백신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유통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온도제어 환경으로 제조·수입업체에서부터 의료기관의 백신 투여시점까지 백신의운반, 보관, 취급에 관련된 모든 설비와 절차를 포함한다. 백신의 제조·유통·사용과정은 제조·수입업체가 백신을 생산·수입하여 냉장보관 장치에 보관 후제조·수입업체에서 유통업체로 운반하고, 유통업체가 접종기관으로 운반하여접종기관에서 입고·보관하였다가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종료된다. 콜드체인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백신이 제조·수입업체에서 생산·수입되어 유통업체를거쳐 접종기관에 이르기까지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것이다(그림 1 참조).백신 제조 및 수입과 관련된 세부사항은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별표1]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별표3] ‘생물학적제제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및 [별표 6의2] ‘의약품등 수입관리 기준’에서 규정하고 있으며,백신유통과 관련된 사항은 [별표6] ‘의약품 유통품질 관리기준’ 및 「생물학적제제 등의 제조·판매관리 규칙」에 따라 시설 및 설비, 공급관리 등에 대해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다만, 접종기관인 의료기관에서 백신의 보관, 취급에관한 규정은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백신의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백신 보관,취급에 적정성을 기하여야 한다.적절한 백신의 보관·수송 및 취급절차를 포함한 올바른 백신 관리는 예방접종사업의 토대라고 할 수 있다. 부적절한 보관·수송으로 인하여 역가가 떨어진백신을 접종한 환자는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는 질환에 대하여 완벽하게 보호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부적절하게 보관·수송된 백신 폐기관련 비용은예산 낭비가 아닐 수 없다. 제조·수입업체, 도매상, 의료기관에서의 백신 보관·수송 관리는 안전한 예방접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정 온도유지 등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따라서 본 가이드라인에서는 백신을 생산·수입하는 제조·수입업체와 유통하는도매상 및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의료기관을 모두 포함하여 백신 보관, 수송,입고, 사용 전 보관까지의 적절한 취급관리 중요성과 올바른 백신 보관·수송관리에 대한 적절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림 1 백신 콜드체인 흐름도]
1.2 범위
본 가이드라인은 백신을 취급하는 제조·수입업체, 도매상 및 의료기관(보건소포함)에서 백신 보관·수송 및 취급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