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치매극복 연구개발 정책의 발전방향 탐색

  • 등록일2020-09-03
  • 조회수511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8-24
  • 출처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치매#알츠하이머#연구개발#정책
  • 첨부파일

 

치매극복 연구개발 정책의 발전방향 탐색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박재은, 노경환

 

◆ 급속한 고령화로 전세계 치매 환자가 증가하여 치매관리비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각국은 다양한 치매 관리 정책 및 치매 연구개발 정책을 추진

◆ 국내에서는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8월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을 출범하여 9년간 총 1,987억원을 치매 관련 연구개발에 투자할 계획을 발표

◆ 의료 선진국(美ㆍ英) 치매 연구개발 사업과 비교를 통한 정책의 발전방향 탐색 및 단계적 로드맵 수립이 필요

 

 

□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치매 예방·진단·치료 분야에서 핵심기술을확보하기 위하여 ‘20.8.3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이하 “사업단”)을 출범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은 ’18.11.14 국가 치매연구개발 중장기 추진전략에 따라범부처간 치매 연구개발 사업으로 마련되어 부족한 민간투자를 보완

- 국가 치매연구개발 중장기 추진전략은 치매 발병 지연(5년*) 및 관련 의료기기·제약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점유율 5%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

* 영국에서의 연구는 치매 발병 5년 지연 시 30년 후 치매 환자 수 33% 감소 예측

- 상기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예방·진단·치료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가 필수적이나, 개발 성공률이 낮아 민간투자 유인이 적으므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

 

○ 사업단은 향후 9년간 예방·진단·치료 분야에 총 1,987억원(국고 1,694억원 및민자 293억원)을 투자할 계획- 사업단은 분야별로 중점기술개발을 구체화하였으며, 세부 연구과제는 `20년8~9월 중 공모할 예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