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20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현황[R&D Brief-2020-19]
- 등록일2020-10-14
- 조회수449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0-05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의료기술평가#의료기술재평가#의료기술
- 첨부파일
[NRF R&D BRIEF]
2020 「노벨 생리ㆍ의학상」 수상자 현황
정책혁신팀 이성민
1. 발표 개요
ㅇ 일 시 : 2020. 10. 5.(월) 18:30 (한국시간) *시상식: 미정
ㅇ 부 문 : 생리학·의학 (Physiology or Medicine)
ㅇ 발표기관 :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생리·의학상 선정위원회(Nobel Assembly at Karolinska Institutet)
ㅇ 발 표 : www.nobelprize.org (노벨상 공식 홈페이지)
2. 수상자
ㅇ 수상자 : 3인 공동수상
수상자 | 생년/성별 | 소속 | 출생국가 | 기여도 | 수상공적 | |
Harvey J. Alter (하비 올터) | 1935/남 | Emeritus Investigator in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NIH) | 미국 | 1/3 | C형 간염 발견에 대한 연구 | |
Michael Houghton (마이클 하우튼) | 1950/남 | Director of Li Ka Shing Applied Virology Institute in University of Alberta | 영국 | 1/3 | ||
Charles M. Rice (찰스 라이스) | 1952/남 | Head of the Laboratory of Virology and Infectious Disease at Rockefeller University | 미국 | 1/3 |
3. 연구업적
□ 업적 :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간경변증과 간암 유발의 주요 원인인혈액 매개성 간염 퇴치에 결정적 공헌을 한 세 명의 과학자들에게 수여 되었다. Harvey J. Alter, Michael Houghton 그리고 Charles M. Rice는 새로운 바이러스인 C형 간염 바이러스를 식별하는 중요한 발견을 하였다. 그동안 A형과 B형 간염바이러스의 연구는 상당한 진전을 보여 왔음에도 다수의 혈액매개 간염 사례는 설명할 수 없었다.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발견은 만성 간염의 원인을 밝혀내었고 수백만 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혈액 검사 장비와 항바이러스 신약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