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한국의 과학기술 혁신역량 진단: 글로벌 혁신스코어보드를 중심으로

  • 등록일2020-11-09
  • 조회수366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0-30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혁신역량#혁신스코어보드
  • 첨부파일

 

[STEPI Insight Vol. 260]

 

한국의 과학기술 혁신역량 진단: 글로벌 혁신스코어보드를 중심으로

 

이혁ㆍ강희종ㆍ서현정

 

[목  차]

| 요 약 |

Ⅰ. 서론

Ⅱ. 글로벌 혁신스코어보드 구축 방법

Ⅲ. 글로벌 혁신 종합지수와 부문별 지수

IV. 글로벌 혁신스코어보드 세부지수

V.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 배경 및 필요성

○ 국가수준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지수가 개발되어 발표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전년도 대비 5계단 순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2018년 28위, 2019년 23위)

- 일부 혁신지표로만 국가수준의 혁신역량을 평가하기는 어렵고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

 

○ 다양한 관점의 지표에 대한 측정과 시각에서 평가할 필요- 글로벌 혁신스코어보드는 생태계 관점에서 과학기술혁신역량을 평가

- 선도형 연구개발 시대에 우위성 뿐만 아니라 다양성과 역동성에서도 과학기술혁신역량을 확보해야 하고 이를 모니터링 평가할 필요가 있음

 

■ 글로벌 혁신스코어보드 체계

○ 생태계 관점을 반영한 지표 체계

- 주체(대학, 공공 연구기관, 기업) 및 환경(조달, 시장, 조정)과 이들 간 상호작용으로 지표체계를 구성

- 생태계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우위성, 다양성, 역동성 역량을 지표화

 

○ 차별성 및 한계

- 자연생태계를 모방하여 지표의 개념 및 체계가 직관적이며 이해하기 쉬움

- 생태시스템을 반영하여 생태적 관점에서 시사점을 발굴하는데 용이함

- 의도된 지표체계를 정확하게 대변할 지표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음

 

 

■ 글로벌 혁신스코어보드 지표 구성 및 지수 산출 방법

○ 글로벌 혁신스코어보드의 체계

- 글로벌 혁신 종합지수, 부문별 지수(생태계 특성별, 생태계 구성요소별)

 

○ 지표의 구성(총 54개)

- 주체(27): 대학(9), 공공 연구기관(9), 기업(9)

- 환경(27): 조달(12개 지표를 3개로 통합), 시장(3), 조정(12개 지표를 3개로 통합

 

○ 지수의 산출

- 4분위 최대최소법을 사용하여 정규화

- 세부지표에 동일 가중치를 적용

- 산술평균을 통하여 지수 산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