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원인불명감염병 실험실 검사분석 체계 개발
- 등록일2020-11-18
- 조회수420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1-05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원인불명#감염병#실험실#검사#분석
- 첨부파일
원인불명감염병 실험실 검사분석 체계 개발
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장준형, 김일환, 김은진
질병관리청 경남권 질병대응센터 강병학
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 고위험병원체분석과 이기은*
*교신저자
초록
최근 기후변화, 환경변화, 국제교류 증가 등으로 인한 원인불명 감염증이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신종감염병이 급속하게 증가하고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국내외 원인불명감염병의 발병에 대비하기 위해 원인불명 질병 집단감염 대응지침을 마련하였고, 원인병원체 확인검사를 위한원인불명감염병 검사분석 TF[Laboratory Analysis Task Force (LATF) for Unknown Disease Outbreak (UDO)]를 운영하였다. TF는 원인불명감염병을다섯 가지 증후군(호흡기, 출혈열, 발진, 신경, 설사)으로 분류한 후, 각각에 대한 실험실검사 알고리즘과 배제검사 패널을 개발하였다. 또한 원인불명호흡기감염병 발생을 대비한 실험실 대응 도상훈련을 실시하였으며, 본 검사 체계와 훈련을 통해 코로나19가 원인불명 폐렴으로 국내에 유입된 초기단계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원인불명감염병의 새로운 발생에 대비하여 지속적인 검사분석 체계 개선과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사료된다.
주요 검색어 : 원인불명감염병, 호흡기증후군, 실험실 검사 알고리즘, 배제검사 패널, 도상훈련
들어가는 말
최근 국내외의 원인불명 신종감염병의 출현으로 국가 보건 및국민의 안위가 위협되는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원인불명 신종감염병의 증가 원인으로는 활발한 국제 교류 및해외 유동 인구수 변화, 기후변화, 항생제가 남용되는 농산업 구조,환경오염 등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현재까지 백신, 항생제 등의개발을 통해 기존 감염병의 상당부분을 제어해 왔지만 다양한요인으로 원인불명 신종감염병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예상된다.현재까지 신종감염병의 대표적인 원인병원체로 호흡기 감염을주로 일으키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 SARS -CoV, 2002~2003)[1], 신종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H1N1 A,2008~2009)[2] 그리고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iddle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 2012)[3]등이있다. 특히 최근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2019~)가 퍼지며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외에 원인불명감염병으로 인해 문제가 된 사례는 독일의 장출열성 대장균 식중독발생사태(2011), 국내 원인불명 폐질환 발생 사태(2011)등이 있다.원인불명감염병은 최초 발생 시에 원인을 알 수 없는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초동대응을 더 어렵게 하는 문제가있다. 원인불명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역학조사,원인병원체 검출, 감염원 확인 및 확산 방지를 위한 기술적역량강화, 실험실 대응전략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 이와관련하여 해외의 원인불명감염병 진단시스템 구축 사례의경우, 독일의 RKI(Robert Koch Institute)연구소가 총 6개 부서로 조직화되어 있는 ZBS(Zentrum for Biologische Gefahren und Spezielle Pathogens)센터를 운영하여 원인불명병원체를 신속하게규명하고 있으며[4], 미국 질병관리본부는 DHCPP(Division ofHigh-Consequence Pathogens and Pathology)에서 그 역할을맡고 있다[5]. 국내의 경우 질병관리청에서 원인불명 호흡기질환대응지침(2017)[6]과 원인불명 질병 집단감염 대응지침(2019)[7]을마련하여 원인불명감염병에 대한 대비 및 대응을 하고 있다. 또한질병관리청에서는 원인불명감염병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를통해 그 원인병원체를 규명하고자, 2018년부터 원인불명감염병검사분석 TF[Laboratory Analysis Task Force (LATF) for UnknownDisease Outbreak (UDO)]를 구성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TF는 원인불명감염병 실험실 검사분석의 체계화를 위한 증후군별실험실 검사 알고리즘 개발, 배제검사 대상 감염병 선정 및원인병원체 확인을 위한 최적화된 유전자검사법 개발, 세포배양법,염기서열분석법 등을 구축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TF에서 원인불명감염병 발생 대응을 위해수행하고 있는 실험실 검사 알고리즘 구축, 증후군별 배제진단 패널개발 및 원인불명감염병 실험실대응 도상훈련을 소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연구기관의 연구윤리 운영수준 진단에 관한 연구 [이슈리포트 2020-14호]
-
다음글
- [2020-16]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지역R&D 투자현황 분석, 어떻게 투자해야 할 것인가? :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