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주요 국가의 인공지능(AI) 관련 연구윤리 정책 동향 조사 [이슈리포트 2020-18호]
- 등록일2020-12-10
- 조회수429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1-20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공지능#연구윤리
- 첨부파일
주요 국가의 인공지능(AI) 관련 연구윤리 정책 동향 조사
Ⅰ. 서론
1. 인공지능(AI)이란?
2. AI에 윤리가 필요한 이유
Ⅱ. AI 윤리에 대한 각국의 대응
1. 영국
2. 미국
3. 일본
4. 독일
5. 프랑스
6. 캐나다
7. 호주
8. 한국
9. OECD
10. EU
Ⅲ. 요약 및 맺음말
Ⅰ. 서론
1.인공지능(AI)이란?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라는 용어는 1956년에 세상에 알려졌지만1) 그 뿌리는
1940년대로 올라감.2)
- AI에 대한 생각은 Alan Turing의 유명한 1950년 논문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에서 구체화되었다고 할 수 있음. 튜링의 논문은 "기계들이 생각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졌고, Turing 또한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험인 ‘Turing Test’3)를 제안하였음.
◦ 1997년 IBM의 체스 게임 컴퓨터 딥 블루가 세계 챔피언인 가리 카스파로프를 물리침으로써 AI라는 용어가 우리에게 알려졌으나 그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음. 그러나 2016년 3월 세계 최고의 바둑기사인 이세돌과 구글 알파벳의 자회사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가 개발한 바둑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AlpaGo)의 대결은 우리에게 인공지능이란 용어를 뇌리에 깊게
각인시킨 바 있음.
- 이와 함께, Klaus Schwab이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을 주창하면서 인공지능,
생산의 자동화, 로봇, 자율주행 자동차 등의 용어가 우리의 생활에 가까워지기 시작하였음.
◦ Wikipedia는 인공지능을 “인간이나 동물들에게서 나타나는 자연적인 지능과 달리 기계에 의해 표현되는 지능”으로 정의하고 있음.4)
- 우리말로 된 위키백과에서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혹은 machine intelligence)은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언어의 이해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이며 “지능을 갖고 있는 기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이며, 인간의 지능을 기계 등에 인공적으로 시연(구현)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음.5)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