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중남미 디지털 헬스 현황

  • 등록일2020-12-21
  • 조회수389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2-21
  • 출처
    글로벌icp포털
  • 원문링크
  • 키워드
    #중남미 디지털 헬스 #디지털 헬스
  • 첨부파일

 중남미 디지털 헬스 현황

 

 

- 2020. 11. 24., 글로벌협력팀 서은정 수석 (5535, ronnieseo@nipa.kr)


□ 중남미 국가 의료 보건 현황

ㅇ 보건시스템의 파편화로 인한 의료접근의 형평성 및 불평등 심화

-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의료 정규직 노동자들을 위한 의료서비스 중산층 이상이 비싸게 이용하는 민영의료가 혼재해 의료접근의 형평성 및 불평등 존재

ㅇ 인구 고령화와 도시화로 국민의료비 지출이 지속적으로 증가 중

- 노년층 인구증가와 OECD평균보다 높은 비만으로 인한 만성질환이 증가, 의료비 지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커지고 있음

* OECD 평균 : 58.2%, 멕시코 : 72.5%, 칠레 : 74.2% (2017년)

- 중남미의 도시화율은 81%이며 전체 인구의 약 20%인 약 1억 2천만 명이 슬럼가에 거주 이는 코로나의 확산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

 

<중남미 주요국 GDP 대비 보건지출 비중 (% of GDP) 출처: WHO(2017)>

ddd.jpg

ㅇ사회보장 확대 및 사회서비스 질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 확대

- 숙련된 의료 인력 부족 공공보건에 대한 투자 부족 보편적 접근성 부재로인한 의료 불평등 및 의료 격차의 문제가 이번 코로나 19사태로 드러나면서 의료시스템 개혁의 필요성이 커짐


□ 중남미 디지털헬스케어 추진 진행

ㅇ ICT 기술을 활용한 의료 접근성 확대 노력 진행 중

- 고령화와 도시화 등에 따른 보건의료 분야의 새로운 도전에 대처하기 위하여 중남미 국가들은 기존의 방법이 아닌 새로운 전략을 수립

- 도시 이외 거주자등 의료소외계층의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원격의료 기술 등의 활용

- 브로드밴드 전자정부 실현 등 정부차원의 다양한 ICT개발 정책이 꾸준히 추진 중

ㅇ 디지털헬스 관련 시장규모가 크지 않으나 연평균성장률 29%로 전체 평균을 약간 상회

 

<원격의료 시장의 지역별 현황 및 향후 전망(2014~2025) (단위 : 백만달러)>

qqq.jpg

ㅇ 국가별 주요 추진 상황

(멕시코) 10개주 이상에서 원격의료 서비스를 제공 중 모바일에 기반한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

(페루) 산모 및 신생아 관리 암 분야에 중점을 둔 원격의료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노력 중

(칠레) 국토의 특성상 의료접근성 제고 및 부족한 의료진 수 등 제한된 자원의 최적화된 활용 주변 국가에 비해 만성질환 발병률이 높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의료 도입에 적극적

 

...................(계속)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