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Covid-19 속 네덜란드 스마트팜 및 식량안보 동향
- 등록일2021-01-11
- 조회수432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2-31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네덜란드#스마트농업#스마트팜
- 첨부파일
Covid-19 속 네덜란드 스마트팜 및 식량안보 동향
목차
Ⅰ. 네덜란드 농식품 현황
1. 네덜란드 농식품 시장 동향
2. 네덜란드 농식품 수출입 동향
3. Covid-19에 따른 농식품 산업 영향
Ⅱ. Covid-19 속 식량안보 문제점 및 움직임
1. 유럽 식량안보 현황
2. Covid-19 속 식량안보 최근 트렌드
Ⅲ. 네덜란드 스마트농업 동향
1. 네덜란드 스마트농업 추진전략 및 프로젝트
2. 식량안보를 위한 해외협력 프로젝트
Ⅳ. 우리기업 협력 및 진출방안(시사점)
1. 농식품 밸류체인 전체를 감안한 다각적 해외 진출
2. 스마트팜-스마트시티 업계 간 컨소시엄 강화
3. SDG 및 ESG, 스마트농업 투자의 뉴노멀로 정착
4. 코로나 이후 강화된 위생검역 및 인증 대응
5. 지속가능 환경 중시하는 유럽소비자 겨냥 해외마케팅
요약
EU 인구는 2045년경 전통적인 농업기술로는 식량 공급이 불가능한 5억 2900만명이 될 것으로 예상됨.
네덜란드는 2019년 수출액이 945억 유로(약 130조)로 세계2위 농업 수출국으로 면적은 우리나라 경상남북도만한 크기에 불과하나 세계 최고의 스마트농업 국가임.
Covid-19 이후 식량안보 우려가 높아졌으나, 2007~2008년 전세계 식량위기 경험을 바탕으로 EU는 운송 및 공급망을 단기간내 회복하고 농식품가격도 쌀을 제외하고는 안정되어 기존과 다른 양상을 보임.
대신에 온라인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EU 그린딜로 인해 스마트농업 기술과 디지털라이제이션을 이용한 스마트팜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추진중임.
한편, EU 내 식량안보는 물론 가장 리스크가 높은 아프리카 등과 스마트농업 협력 투자가 활발함.
Covid-19 이후 나타나고 있는 이러한 변화 속에 우리 농식품 기업이 성공적으로 해외진출과 협력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 스마트팜 S/W기술이나 식품 수출 위주에서 종자-재배-유통-소비에 이르는 스마트농업 全밸류체인에 대한 다각적인 진출과 스마트시티-스마트팜 업계간 공동 진출도 벤치마킹할만 함. 더불어 코로나로 높아진 인증장벽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환경과 안전을 중시하는 유럽 소비자 맞춤형 온라인 마케팅 강화가 요청됨.
한편, SDG와 ESG가 스마트농업 분야 투자의 뉴노멀로 자리잡고 있는 점을 투자유치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1. 네덜란드 농식품 시장 동향
□ 네덜란드 산업의 파워하우스(Powerhouse), 농식품 산업
◦ 네덜란드 정부는 핵심산업으로 Top 9 Sector를 선정, 민관학 연계 R&D와 수출, 투자유치를 적극 추진
- 이중 Agrifood(농식품)와 Horticulture(화훼) 2개 분야는 전체 GDP의 8.3%, 총 수출의 19%(무역흑자의 65%), 고용률 10%를 차지하는 주요 산업
◦ 세계 농식품 톱 25개사 중 3개사(Unilever, Friesland Campina, Heineken)가 포진하고 있으며, 농임업 분야 세계 1위 대학인 와게닝 헌대학(Wageningen University)을 중심으로 농식품 분야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푸드밸리(Food Valley)가 형성
◦ 유럽이라는 거대 역내 소비시장 보유
- 농식품 특성상 신선도 유지가 가장 중요한데 세계 최고의 물류 인프라(로테르담 항만, 스키폴 공항)를 활용, 인구 5억의 EU 거대 소비시장에 1일 내 공급 가능
[EU 시장 장점]
❶ EU 단일 통화로 환율변동에 따른 거래 위험이 덜함
❷ 정치적 민감 분야인 농식품 분야의 불매운동 위험에서 자유로움
❸ 식품 위생과 수의학에 관련된 국가관 비관세장벽이 낮음
2. 네덜란드 농식품 수출입 동향
□ 세계 2위 농식품 수출국, 네덜란드
◦ 네덜란드 농식품 수출액은 2019년 945억유로로 미국에 이은 세계 2위
- 이 중 72.5%(685억유로)는 네덜란드 자국산 농식품 수출이며 27.5%(260억유로)가 가공을 통한 재수출임
◦ (주요 수출국) 네덜란드 농식품 수출은 EU 의존도가 높음
- 독일, 벨기에, 영국, 프랑스 등 4개국으로 수출이 전체의 약 54%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