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대상포진백신의 국가예방접종 도입 관련 비용-효과 분석
- 등록일2021-01-19
- 조회수486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2-26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대상포진#대상포진백신#국가예방접종사업#비용-효과분석
- 첨부파일
대상포진백신의 국가예방접종 도입 관련 비용-효과 분석
초록
대상포진백신의 국가예방접종사업 도입 검토를 위해서는 전국적 규모의 질병부담 및 국가예방접종 도입 시의 비용-효과 분석 연구를 통한 타당성 확인이 필요하다.
이에 국내외 연구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분석 자료 및 전문가 자문 결과를 토대로 대상포진백신의 국가예방접종사업 도입에 따른 비용-효과 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 5 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대상포진 생백신의 국가예방접종사업 도입은 비용-효과적(I C E R 22,823,984원/QALY)이었으나, 대상포진백신 접종비용이 111,936원을 초과하거나 대상포진 발생률이 23% 이상 감소하는 경우 비용-효과비(ICER) 값이 예방접종 비용보다 효과가 작았다. 본 연구 결과는 국가예방접종사업 관련 정책 결정을위한 기초자료 중 한 가지이며, 이외에도 국가예방접종사업의 목적, 성인 예방접종의 특성, 가용한 재정, 실행 가능성, 국가예방접종사업 후보 백신 중 우선순위 등 다양한 인자에 대한 추가 고려가 필요하다.
들어가는 말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에 감염된 후 배근신경절(dorsal root ganglia)에 잠복감염되어 있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대상포진은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나 대상포진 발병 시 급성 및 만성 통증으로 인해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사회,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질병부담을 유발시킨다[1].
이에 대상포진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는 60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대상포백신 접종이 권고되고 있다[2].
국내에 대상포진백신이 도입된 이후, 대상포진백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으나 상대적으로 고가인 백신 가격으로 인해 접종률은 높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따라 대상포진백신을 국가예방접종사업(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NIP)에 도입해서 지원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포진백신의 국가예방접종 도입에 따른 비용-효과를분석하여 경제적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몸 말
1. 분석방법
가. 분석 모형
이전에 다른 국가에서 수행된 대상포진백신 비용-효과 분석에는 대부분 마르코프 모형을 사용하였고[3] 질환의 특성상 마르코프 모형 사용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도 마르코프 모형을 사용하였다. 단, 대상포진의 경우 사람 간에 전파되는 질환이 아니므 로 군 중면역은 감 안 하지 않았고, 대상포진으로 인한 사망은 임상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고 국내에 인용할 수 있는 자료도 없으므로 사망으로 인한 손실도 감안하지 않았다.
분석 대상은 50세부터 100세까지로 하였고 분석 주기는 1년으로 설정하였다. 건강상태는 무병상태, 대상포진 상태, 대상포진후 신경통(Post-herpetic neuralgia, PHN), 사망으로 정의하였다. 대상포진은 재발이 가능하나 재발률이 낮고 재발에 대한 백신의 효과를 적용하기 어려우므로 대상포진 재발은 감안하지 않았다.
비용-효과의 분석 결과는 질보정수명(Quality Adjusted Life Years, QALY)에 대한 점증적 비용-효과비(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 ICER)로 제시하였다. 분석은 사회적 관점에서 수행되었으며 할인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약품 경제성평가지침에 따라 5%로 정하였다[4].
나. 대상포진백신 국가예방접종사업 예상 시나리오
대상포진 생백신(Zoster Vaccine Live, ZVL)을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접종하며 국가예방접종 도입 첫 해에 따라잡기 접종을 하는 것을 국가예방접종 기본 사업 시나리오로 선정하였다. 현재 고령자에 대해 국가예방접종이 시행되고 있는 인플루엔자백신과 폐렴 사 슬알균 백 신의 접 종 률 을 감 안 하 여 대 상포진백 신의 국가예방접종 시행 시 예상접종률을 70%로 추정하였다. 다양한 국가예방접종 상황에 대한 평가를 위해 50세부터 80세까지 5세 단위로 나누어 50~54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세 이상에서 대상포진백신을 국가예방접종에 도입하는 경우의 비용-효과를 평가하였고 따라잡기 접종을 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를 각각 적용하여 비용-효과를 평가하였다.
기본 사업시나리오 이외에도 현재 국내에 도입되어 있지는 않으나 향후 도입될 가 능성이 높 은 재 조합백신(Recombinant Z oster Vaccine, RZV)이 국가예방접종에 도입되는 경우도 가정하여 평가하였다. 2회 접종이 필요한 재조합백신의 경우 접종대상자가 모두 2회 접종을 완료하는 것으로 추정하였고 일부가 1회 접종만 완료하는 경우에 대해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재조합백신과 생백신 모두 국가예방접종에 도입되어 함께 사용되는 경우도 국가예방접종 사업시나리오로 가정하여 평가하였다.
다. 비교 대안 선정
대상포진백신을 사용하지 않는 대안과 국가예방접종에 도입하는 대안을 비교하였다. 생백신을 국가예방접종에 도입하는 대안의 경우, 접종 첫 해 접종대상자에 대한 접종이 완료되며 이후 추가 접종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생백신의 경우 현재 시장에서 접종되고 있으므로, 생백신에 대해서는 시장 가격, 시장 접종률을 추정하여 현재 시장에서 접종하는 대안과 국가예방접종에 도입하여 접종하는 대안도 비교하였다. 생백신을 시장에서 접종하는 대안의 경우,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생백신 검정량을 바탕으로 누적접종률과 연간접종률을 추정하였다. 단, 시장에서 연령군별 접종률의 차이는 알 수 없으므로 50세 이상 인구에서 연령군별 접종률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시장 접종 대안의 경우 한번 접종받은 사람은 추가로 접종하지 않되, 미접종자는 다음해부터 매년 연간접종률만큼 추가로 접종받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