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요 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보고서
- 등록일2021-02-10
- 조회수450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1-29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연구개발사업
- 첨부파일
20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요 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보고서
요약문
1 조사 목적 및 근거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국연구재단을 통하여 지원한 주요R&D사업(이하 과기정통부 주요 R&D사업)에대한 투입 및 산출 성과를 조사・분석함으로써 과학기술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 도출
2 조사・분석 개요
조사・분석대상 투입성과
• 상기 조사・분석대상 사업의 2019년도 정부출연금
조사・분석대상 산출성과
• 상기 조사・분석대상 과제가 2019년도에 산출한 성과
3 주요 분석 결과
(1) SCI논문 성과
우리나라 SCI논문의 양적 성장에 크게 기여
• 과기정통부 주요R&D사업의 2019년도 SCI논문 게재실적은 20,717건으로 전년대비 6.7% 증가함
연구비 10억원당 SCI논문 실적이 국가전체의 7배 수준
• 과기정통부 주요R&D사업의 연구비 10억원당 과제별 기여율을 고려한 논문수는 5.39건으로
국가 전체(0.78건) 보다 7배 수준인 것으로 분석됨
SCI논문 영향력지수가 국가 전체의 1.3배 수준
• 국가전체 SCI논문의 Impact Factor(IF) 평균이 3.91인데 비해 주요R&D 사업의 평균 IF는 4.98로 국가대비 1.3배 수준
• 국가전체 SCI논문 중 IF가 20이상인 논문은 총 685건이며, 이 중 266건(38.8%)이 과기정통부 주요R&D사업의 성과
• 과기정통부 주요R&D사업 SCI논문의 ‘표준화된 순위보정영향력지수’는 69.52로 국가 전체(61.07)보다 8.45 높음
• 과기정통부 주요R&D사업 SCI논문 중 IF백분율 기준으로 분야별 상위10%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3,696건으로 국가전체의 43% 점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KBCH 브리핑] 2020년 바이오안전성/유전자가위 관련 주요 이슈(2021-03)
-
다음글
- [KBCH 브리핑] EU : 이해당사자들의 NBT기술에 대한 인식과 관련 정책 상황(2021-02)
관련정보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