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KEIT PD 이슈리포트 2021-1,2호-특집 : 7. 바이오
- 등록일2021-03-04
- 조회수436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2-25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디지털헬스케어#첨단바이오신소재
- 첨부파일
KEIT PD 이슈리포트 2021-1,2호-특집 : 7. 바이오
◈ 주요 연구개발 분야
1. 맞춤형진단치료제품, 디지털헬스케어, 첨단바이오신소재, 바이오산업생산고도화 분야 응용·개발 단계 지원
- (맞춤형진단·치료제품) 개량바이오의약품(바이오베터) 개발, 상용화 플랫폼 기반 의약품 제품화, 맞춤형 질병진단 시스템 개발 등
- (디지털헬스케어)빅데이터, AI, ICT 등 융복합 기술을 활용하여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및 건강관리 제품·서비스 개발
- (첨단바이오신소재) 생물체·자연유래 원료를 활용한 친환경 산업(의료·화학 등) 고도화를 위해 첨단 신소재 개발 및 제품화
- (바이오산업생산고도화)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장비 및 핵심 원·부자재 국산화 기술개발
◈ 산업현안 및 주요동향
1. 국외동향
- (산업바이오) BASF, DuPonDow, DSM 등 세계 주요 화학기업들은 바이오화학으로 사업전환을 추진했으며, M&A를 통한 바이오 및 화학연계 제품 발굴 확대와 지속적인 R&D를 통해 제품의 경제성을 확보하고 세계시장을 선점
- (융합바이오) 디지털헬스케어, 유전체, 체외진단 시장, AI 기반 혁신의료시스템 등의 지속 성장이 예상되고 있으며, 각 분야별 환자별 맞춤형 시장의 기기·서비스·SW산업의 성장이 주도할 것으로 예상됨
2. 국내동향
- (산업바이오) 기존 석유화학회사(SK, GS칼텍스, LG화학 등)와 발효전문회사(CJ제일제당, 대상)를 중심으로 발효를 통한 바이오화학 관련 제품 연구개발이 진행 중 - 화장품 및 고부가가치 친환경 웰에이징 소재분야 기업이 성장 중이나, 4차 산업혁명 선도기술 중 하나인 합성생물학 기반 국내기업은 미비
- (융합바이오) 질병예측과 건강관리를 위한 차세대 진단기술은 플랫폼과 서비스, 측정기기 등을 중심으로 대기업의 주도하에 진행되고 있으며, 투자가 활발한 바이오 벤처기업의 성장도 두드러짐
◈ 추진전략
1. 맞춤형 진단·치료제품
- (글로벌 진출형 TBM) 의약산업 수출증대를 목표로 진출시장별 수요에 부합하는 제형화 제품기술을 적용하여 글로벌 시장 수요맞춤형 기술기반 의약품 개발(Technology Based Medicines)
- (차세대 개량의약 기술) 기존 의약품에 혁신적인 제형화 기술 또는 맞춤형 전략을 적용하여 안전성·유효성·유용성 등을 개선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바이오의약 기술수준을 제고하고자 함
2. 디지털헬스케어
- (AI·빅데이터 기반 혁신의료기술·서비스)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민체감형 의료·헬스케어 분야 기술제고 및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제품기술 및 서비스 모델 개발
- (디지털 치료기기) IT기술, 디지털기기 및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스트레스, 정신·신경계질환, 만성질환 및 사회장애 등 기존 의약품의 부작용 감소효과와 병용 치료가 가능한 디지털 치료기기 개발
3. 첨단바이오신소재
- (바이오의약 소재) 조직재생과 생체내 기능대체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요구되어지는 생체적합성 의료용 소재 개발
- (바이오화학 소재)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제품 및 생물공정 기술 개발을 통해 저탄소시대 대비한 바이오화학 관련 기술 및 제품개발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