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코로나19 1년 발생보고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1년 발생보고서(2021.1.19. 기준)
- 등록일2021-03-09
- 조회수460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2-25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코로나발생
- 첨부파일
[코로나19 1년 발생보고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1년 발생보고서(2021.1.19. 기준)
◈ 초록
본 자료는 2020년 1월 20일부터 2021년 1월 19일까지 지난 1년간,「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11조에 따라 의료기관 등에서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을 통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환자 등을 신고히고,중앙 및 지자체 역학조사반이 역학조사한 우리나라의 코로나19 환자 발생 현황 보고서이다.
2021년 1월 19일 기준, 우리나라의 코로나19 확진자는 73,115명(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141.0명),사망자는 1,283명이었다. 17개 모든 시•도에서 확진자가 보고되었으며,특히 수도권(서울,경기, 인천) 및 대구 • 경북권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성별로는 여자 51.0%, 남자 49.0% 발생하였고,가장 많이 발생한 연령대는 50~59세(18.8%)이었다 사망자는 60세 이상이 95.7%(1,228명)이었으며,사망자 중 50.7%는 여자이었다. 치명률은 전체 확진자에서 1.75%이었고,연령대로 구분하였을 때 80세 이상의 치명률이 19.88%로 가장 높았다.
지난 1년간 역학조사 결과 확인된 주요 감염경로는 지역집단발생(33,223명,45.4%), 확진자접촉(20,157명,27.6%), 조사 중(미분류)(13,473명,18.4%) 순이며,지역집단발생의 주요 감염경로는 신천지 외 종교 관련(5,791명,7.9%), 신천지 관련(5,214명,7.1%), 요양병원•시설 관련(4,2기명,5.8%), 직장 관련(3,817명,5.2%), 가족 •지인모임 관련(3,470명,4.7%) 순이었다.
코로나19 확진자는 증감을 반복하며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유행이 지속될수록 유행의 규모가 커지고,집단 사례도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만남 및 시설 방문 자제,올바른 마스크 착용,손씻가 사회적 거리두기 유지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 들어가는 말
2019년 12월 31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는 2021년 1월 19일까지 전 세계적으로 93,217,287명이 발생 보고되었고,우리나라는
2020년 1월 20일 첫 확진자 보고 이후 2021년 1월 19일까지 총 73,115명 발생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코로나19 감염병 위기단계를 「심각」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으며,국무총리를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여 범정 부적으로 방역에 집중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대응 1년을 맞아,유행시기별 발생 현황에 대한 분석 결과를 담고 있다. 의료기관 등에서 신고한 코로나19 발생 자료는 감염경로 확인을 위한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지역별 통계는 신고기관의 주소에 기반하여 지자체에서 발표하는 코로나19 발생 현황과 상이할 수 있어 자료의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정비를 위한 연구
-
다음글
- [코로나19 1년 발생보고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주요 집단발생 1년간 특징(2020.1.20.부터 2021.1.19.까지)
관련정보
지식
동향
- 산업동향 일본 코로나 등 진단키트 시장 동향 2024-11-25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접촉추적격리 정책 국제 비교 및 정책 효과 시뮬레이션 연구 2024-08-16
- 제도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이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병원체자원 분양 현황(2020–2023년) 2024-07-24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대응 거버넌스 변화와 정책에 관한 고찰 (2020년 1월–2021년 12월) 2024-02-07
- 기술동향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의 증상 및 관련 연구 동향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