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20년 KOTRA 코로나19 비상대책반 이슈리포트
- 등록일2021-03-11
- 조회수428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3-03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코로나대응
- 첨부파일
2020년 KOTRA 코로나19 비상대책반 이슈리포트
◈ 목차
01. 주제별
1. (2.3) 중국 주요항만 운영현황
2. (2.11) 신종 CV로 인한 중국 업종별 영향 분석
3. (2.24) 코로나19 확산 관련 외투기업 동향
4. (2.26) 美 트럼프, 코로나 바이러스 대응 관련 기자회견 주요내용
5. (2.27) 코로나19 관련 日전시회 참가 우리기업 피해사례
6. (2.28) 중국 진출 국내기업 조업재개 현황 및 애로사항
7. (3.2) ‘20.2월 수출 동향
8. (3.2) 20.2월 중국 경기선행지수(PMI) 급락
20.2월 중국 경기선행지수(PMI) 급락
9. (3.2) 중국 주요통계
10. (3.4) 中 마스크 원자재 수급 현황보고
11. (3.6) 해외 비즈니스 애로사항 사례
12-1. (3.10) 중국 진출 국내기업 조업재개 현황 및 애로사항
12-2. (3.17) 중국 진출 국내기업 조업재개 현황 및 애로사항
13. (3.18) 중국 1~2월 경제실적과 정책방향 예측
14. (3.18) 코로나19 주요 발생 지역별 KOTRA 사업현황
15. (3.18) 한국발 항공편 현황
16. (3.18) 코로나19 유형별•지역별 우리기업 애로 조사결과
17. (3.19) 코로나19 한국정부 대응자료 활용방안
18. (3.19) 코로나19 관련, 해외 수요 현황
19. (3.25) 세계 각국 경기부양 정책 동향
20. (3.27) G20 특별 화상 정상회의 주요내용
21. (3.30) 卜2월 대중 수출 급락속 선전 분야, 선전 품목
22. (4.1) 중국 경기부양책으로 본 우리의 기회
23. (4.1) 미국 및 유럽 주요국 물류 현황
24. (4.3) 각국 마스크 착용 의무화 여부 조사결과
25. (4.7) 중국 소비촉진 정책으로 본 우리의 비즈니스 기회
26. (4.7) 코로나19 치사율이 낮은 국가 동향
27. (4.9) 코로나19가 몰고 온 미국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전망
28. (4.10) 중국 방호용품 수급 현황
29. (4.13) 일본 긴급 경제대책 우리의 비즈니스 기회
30. (4.13) 중국의 주요 성시별 1~2월 수출입 현황
31. (4.13) 구글트렌드로 보는 코로나19 감염 추이 및 시사점
32. (4.14) 북미지역 경기부양 정책 활용 사업현황 및 계획
33. (4.14) 인기판매순으로 본 중국 온라인플랫폼 히트상품 TOP 10
34. (4.15) 인도 진출기업, 코로나19 피해동향 설문조사 결과
35. (4.16) 코로나19 이후 원달러 환율 영향 및 전망
36. (4.17) 코로나19 베트남 제조업 영향 및 향후 전망 분석
37. (4.20) 코로나19 위기, 숫자로 본『중국 1분기 성적표j
38. (4.20) 코로나19에 따른 미국의 GVC 변화
39. (4.22) 코로나19 전후 ToplO 판매제품으로 본 美 트렌드 변화
40. (4.22) 인도네시아 제조업 영향 및 우리 진출기업 동향
41. (4.23) 중국 MB필터 가격동향 및 정부 대응
42. (4.23) 최근 홍콩 경제동향
43. (4.23)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북미 진출기업 설문조사 결과
44. (4.27) 2020년 1분기 일본의 수출입 및 한일 교역 현황
45. (4.28) 저유가 시대 이후 중동 프로젝트 시장 전망 및 대응방안
46. (4.28) 코로나19에 따른 유럽의 GVC 변화 점검
47. (4.29) 독일 및 스위스 연구소의 코로나19 사망원인 분석
48. (5.4) ASEAN 지역 새롭게 떠오르는(New Rising) 상품 트렌드와 전략
49. (5.4) 주요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50. (5.6) Post 코로나19, 북미 경제재개 동향
51. (5.6) 코로나19 이후, 중국 벨류체인 동향
52. (5.11) 5월 한국발 항공편 현황
53. (5.11) 美 하원 요구 의료제품 수입관세 잠정유예 추진경과
54. (5.12) 중국 성시별 방역등급 조정 현황
55. (5.13) 코로나19로 가속화되는 주요국 디지털경제 전환 현황 및 시사점
56. (5.14) 사우디 긴축재정 조치 동향
57. (5.14) 코로나19發 미국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진단 및 처방
58. (5.18) “디지털 경제 전환” 미국산업 동향 및 시사점
59. (5.18) 미리보는 중국 2020 양회
60. (5.19) 주요국 방호용품 산업 육성 동향
61. (5.20) 코로나19 이후 CIS지역 경제지형 재편 EAEU 강화
62. (5.20)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전시산업 동향
63. (5.21) Post 코로나19, 유럽 경제재개 동향
64. (5.22) 코로나19가 만든 혁신제품
65. (5.25) 미국의 대홍콩 특혜 관련 현황
66. (5.25) 2020 중국 양회 및 미중관계 이슈 美현지반응
67. (5.26) 일본 경제재개 동향
68. (5.27) 대만 마스크 일반판매•수출허용 발표
69. (5.28) 미국의 對중국 3차 블랙리스트 발표에 따른 영향
70. (5.28) 주요국「그린뉴딜」추진 동향
71. (5.29) 코로나19로 급물살 타는 일본의 온라인 의료시장
72. (6.1) 중국 2020 양히(雨會) 평가 및 시사점
73. (6.1)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 관련 미국 반응
74. (6.2) 코로나19 원인 규명 촉구로 인한 호주-중국 통상분쟁
75. (6.3) 中 위안화 평가절하 동향
76. (6.5) 중국 권역별 MB필터 동향
77. (6.9) 스페인 독감을 통해 본 코로나19 2차 대유행 전망
78. (6.9) 키워드로 본 코로나19
79. (6.10) 코로나19로 가속화 된 디지털세 부과에 대한 최근 동향
80. (6.11) 중국 5월 수출입, 코로나19로 인한 세계경기 침체 반영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
- 산업동향 일본 코로나 등 진단키트 시장 동향 2024-11-25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접촉추적격리 정책 국제 비교 및 정책 효과 시뮬레이션 연구 2024-08-16
- 제도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이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병원체자원 분양 현황(2020–2023년) 2024-07-24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대응 거버넌스 변화와 정책에 관한 고찰 (2020년 1월–2021년 12월) 2024-02-07
- 기술동향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의 증상 및 관련 연구 동향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