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K-브리프] 2021년 제5호. OECD ISSA 주요 결과 검토

  • 등록일2021-06-02
  • 조회수342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5-28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OECD #ISSA
  • 첨부파일


[K-브리프] 2021년 제5호. OECD ISSA 주요 결과 검토


◈목차


1. 개요

 

2. 주요 결과
2.1 오픈 사이언스 패러다임
2.2 데이터 집약적 연구
2.3 디지털 식별자
2.4 과학부문 내 디지털 격차
3. 정리 및 ISSA2/ISSA2021 비교
 

◈본문

 

1. 개요

▣ 과학부문 저자 대상의 국제 설문 조사(International Study of Scientific Authors, ISSA)는OECD의 핵심 실행 과제로, 과학기술지표작업반(NESTI)의 지원 하에 수행되고 있음.

▣ ISSA는 개인 단위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조사로, 2015년과 2018년에 각각 수행되었으며 2021년 현재 3차 조사가 수행 중임.

∙ 2015년 ISSA1(Open Science and Open Access to Publications) : 발간물 및 연구 성과에 대한 오픈 액세스와 오픈 사이언스의 잠재적 함의를 주제로 정책 관련 문항 조사
∙ 2018년 ISSA2(Science Going Digital) : 과학부문의 디지털화 특성 및 디지털화의 영향을 파악 하기 위해 설문 조사 수행
∙ 2021년 ISSA2021(Science in Society in times of Crisis) : 연구자들의 근로 여건, 과학계의 사회참여및지속가능한개발목표달성에의기여와 코로나19가 연구자들의과제수행과커리어 전망에 미치는 영향에 포커싱

▣ 이번 호에서는 ISSA2 보고서 * 내용 중 주요 결과를 살펴보고, 현재 진행 중인 ISSA2021의 내용을 소개하고자 함.
* Chart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cience: Findings from 2018 OECD International Survey
of Scientific Authors, 2020.03.

1.png

2. 주요 결과

▣ ISSA2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과학부문 디지털 변환에 있어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음.

∙ 과학 연구의 전(全) 단계에 걸쳐 생산성 및 협업 제고를 위한 디지털 도구 수용
∙ 디지털 기반(digitally-enabled)의 데이터 및 코드 확산과 접근
∙ 데이터 집약적인 전문 디지털 도구 활용을 통한 연구 강화
∙ 과학 연구 활동 관련 디지털 아이디 활용 및 온라인 소통 발전

▣ 다양한 결과 중 오픈 사이언스 패러다임, 데이터 집약적 연구, 개인 식별자 이용 현황 및 디지털 격차 등이 주목할 만한 사항임.

2.1 오픈 사이언스 패러다임

▣ 전체 연구 발간물 중 약 65%에서 데이터 또는 코드를 생성한 것으로 조사됨.

∙ 데이터 생산이 코드 생성보다는 일반적인 것으로 조사
∙ 연구분야별로살펴보면, 데이터생산의경우농학및생명과학, 생화학, 유전학, 분자생물학, 면역학
에서 비중이 높은 반면 수학과 인문예술학 분야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남.
∙ 코드 생성의 경우, 컴퓨터과학, 수학, 지구・행성과학 분야 순으로 높게 나타남

2.png


▣ 디지털 기술이 연구 산출물의 공유를 촉진하고 데이터 접근을 확대하는데 기여하고 있으나, 연구자 간 데이터 공유는 여전히 비공식적 공유 방식에 주로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데이터 또는 코드 생성 저자 중 약 40%만이 아카이브나 온라인 플랫폼과 같은 데이터 저장소에
산출물을 저장하거나 데이터 또는 코드를 보조 정보로서 논문 발행 기관과 공유하고 있다고 응답

▣ 더불어 기존 데이터나 코드 재사용은 메타데이터의 부재, 다출처 데이터와의 연계를 위한 표준화 작업 부족, 데이터 요청을 위한 표준화된 메커니즘의 부족으로 활성화에 제약
 
∙ 데이터 또는 코드 생성 연구자 중 데이터의 “FAIR”
* 질 제고를 위한 작업을 수행한 경우는 30% 미만으로 조사
* 오픈사이언스의 원칙으로 Findability 검색 용이성, Accessibility 접근 가능성, Interoperability 상호 수행성, Reusability 재사용 가능성을 의미
 

3.png

∙ 데이터공유및확산은연구분야별로차이가있으며, 사회적규범과동료연구진의기대치에의해 활성화되는반면, 게재및배포등의공유비용, 지적재산권보호, 프라이버시, 윤리적이슈등으로 인해 공유가 저해되는 것으로 응답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