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중소기업의 혁신생태계 조성 방안

  • 등록일2021-06-04
  • 조회수372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6-01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중소기업#혁신생태계#미래사회예측#정부지원
  • 첨부파일


중소기업의 혁신생태계 조성 방안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중소기업과 혁신생태계 
Ⅲ. 혁신생태계를 활용한 중소기업 기술정책 고도화 방안
 

◈본문

 

|요 약|

▣ 서론
 최근 정부의 정책 어젠다에 자주 등장하는 ‘혁신생태계’라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혁신생태계 모색
- 기존의 혁신생태계에 대한 논의는 기술의 공급자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으며, 중소기업 기술정책 측면에서 시장을 고려한 혁신생태계 논의의 발전이 반드시 필요

 이 글에서는 혁신생태계 이론을 정리함으로써 시장 친화형 중소기업 기술정책 방향의 이론적 가능성을 탐색하고 올바른 정책 설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단기적, 상향식으로 추진되어 오던 중소기업 기술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실효성 있는 시장 중심의 R&D 추진방향 제시

▣  혁신생태계의 개념과 구성

 혁신생태계란 용어는 비즈니스생태계 차원에서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는 주변의 생산자와 사용자 간 공진화를 설명하기 위해 처음으로 사용(Moore, 1993)
 Jackson(2011)과 Valkokari(2015)의 연구에 따르면 혁신생태계는 지식과 상업적 생태계의 결합을 통해 선순환 하는 과정을 특성으로 하는 생태계를 의미

 지식생태계와 비즈니스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핵심기업과 플랫폼의 역할이 중요
- 혁신생태계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행위자는 지식생태계와 비즈니스생태계를 구성하는 행위자를 포괄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비즈니스생태계의 핵심주체는 핵심기업(focal company)과 플랫폼으로 볼 수 있으며, 이들 모두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시장으로 이해
* 핵심기업과 플랫폼은 시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고객과 기업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이해 

 Rabel & Bernus(2015)는 혁신생태계의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의
- 행위주체(actors), 자본(capital), 하부구조(infrastructure), 규제(regulation), 지식 (knowledge), 아이디어(idea), 연계(interface), 문화(culture), 아키텍처 원칙
 architectural principle)

 혁신생태계 진단을 위해서는 지식생태계와 비즈니스 생태계 진단에 관한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나, 아직까지 지식생태계의 구성과 역할, 진단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
 - 다만, 비즈니스생태계의 건강성을 진단하는 지표는 다음과 같음(Iansiti & Levien, 2004)

1.png


▣ 혁신생태계에서 중소기업의 역할과 전략

 기업의 시장(또는 고객)을 B2B와 B2C로 유형화하고 있으며, 각각의 시장은 제품과 구매결정 프로세스에 차이가 있음(Kunal et al., 2014)

 중소기업의 시장도 B2B, B2C로 구분될 수 있으며,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으로 인해 공공구매 시장(B2G) 시장도 존재
-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B2B 시장의 비중이 높고, B2G 시장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75%를 차지하고 있음

 중소기업이 대상으로 하는 시장에 따라 다양한 마케팅 전략이 존재
- B2C 중소기업은 일반적인 기업과 달리 소수의 고객(유통채널)을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추구(Weinrauch et al., 1991)
- B2B 중소기업도 소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추구하지만 기존에 형성된 가치 사슬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경쟁을 위한 혁신(성능, 가격)을 바탕으로 신뢰를 쌓아가야 함
- B2G 중소기업의 경우 정부의 법·규정 등을 바탕으로 해당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혁신을 통한 마케팅 전략 추구

▣ 혁신생태계 내에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 B2C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 B2C 중소기업은 ‘소비자 선택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경제적 후생효과를 창출
* ‘소비자 선택의 다양성’이란 동일한 성능과 저렴한 가격을 통해 소비자에게 선택의 범위를 넓혀 주는 것을 의미
- 정부가 B2C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것은 간접적으로 사회 내에서 소비된 제품의 다양성을 높여 줌으로써 사회적 후생을 극대화하는 과정

 B2B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 B2B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은 경제 내에서 소비된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로 이어지며, 이는 동일한 제품(품질)의 저가화에 기여하면서 소비의 후생효과를 가져옴
- 특히, 특정한 기술적 요소로 독과점을 이루는 생산요소(소재, 부품, 장비) 시장의 경쟁을 가속화시켜 완전경쟁시장으로 만들고, 이는 소비 제품의 저가화에 기여
- 정부가 B2B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것은 비즈니스생태계 내에서 혁신의 준비성(preparedness)을 높이는 활동으로 새로운 산업의 조기 정착을 가능하게 하는 과정

 B2G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 정부는 국민의 안전한 삶을 위해 다양한 법·제도를 통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위 또는 현상 등을 규제하고 모니터링 해야 하는 책무를 갖고 있음
- 다만, 이러한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의 시장규모가 작아서 대기업은 진입 하기 어려운 분야가 대부분임
- B2G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은 정부의 모니터링 기능을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기술혁신을 통해 정부의 효과적인 역할 수행을 지원하게 됨
 
▣  중소기업 유형별 혁신생태계 사례
 
 B2C 중소기업인 A사는 안경점용 검안기 분야의 국내 시장을 80% 점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안과용 진단기 시장 진입을 모색
- A사는 B대학의 교수와 진단기의 광원으로 레이저를 사용하는 안과용 진단기에 대한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하고, 기술의 제품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위탁연구계약을 체결
- B대학으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은 후 2년만인 2018년 망막진단기술을 개발하여 CE 인증 획득, 캐나다 인증 획득 후 1년 이내 매출 50억 달성, 2019년 안과용진단기 매출 155억 달성
 
 B2B 중소기업인 P사는 디스플레이 분야의 선도기업인 S사의 장비공급기업으로 S사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개발계획에 따라 원천기술의 이전 및 자체적인 장비개발을 수행
- P사는 S대학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관련 장비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위한 위탁 연구계약을 체결
- S사의 시장진입 시점 수정에 따라 장비개발이후 시장진입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 되어 자금난을 격을 수 있는 기간이었으나, P사는 중견기업으로 자금난 극복 가능
- P사는 S사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관련 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이후 중국 B사와 1,415억 원의 공급계약 체결
- P사와 S대학의 성공적인 장비개발은 지식생태계와 비즈니스생태계 간 연계협력을 통한 신뢰 구축과 혁신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보여줌
 
 B2G 중소기업인 M사는 상수원 독성물질 검사 장비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상수원의 독성검사를 해당 지자체가 주기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는 수도법 규정에 따라 검사장비
업체로 사업 전환 
- M사는 자체적으로 확보한 데이터와 독성물질 검사에 필요한 세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자체개발에 착수하여 장비개발에 성공
- 그러나 지자체의 소극적인 상수원 독성 검사로 인해 매출 성장이 매우 느리게 이루어 지고 있는 상황
- 국민안전과 관련된 법·규정은 정부의 역할이고, 기술혁신 측면에서는 “혁신 추동 규제(Innovation Driven Regulation)”에 해당하며, 법·규정 이행의 명확성을 높여줌으로써 B2G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유인할 수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