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스마트식품제조 동향 보고서

  • 등록일2021-06-09
  • 조회수438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5-31
  • 출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 식품제조#스마트제조#식품산업
  • 첨부파일
    • pdf 식품R&D중점투자분야 보고서_스마트식품제조분야동향보고서.pdf (다운로드 32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스마트식품제조 동향 보고서


◈목차


1. 스마트제조 현황

 

 1-1 개요
 1-2 스마트 제조의 시스템구성
 1-3 산업동향
 1-4 국내외 정책도향
 1-5기술동향
 
2. 식품산업 분야의 스마트 제조
 2-1 식품산업 분야의 요소기술별 도입현황
 2-2 식품산업 분야의 스마트제조 정책동향 
 2-3 식품산업 분야의 스마트제조 기술동향
 2-4 식품산업 분야의 스마트제조 기업동향
 
3. 시사점
 3-1 식품산업 스마트제조 도입 장애요인
 3-2 식품산업의 스마트 제조 활성화 제언


◈본문

1. 스마트제조 현황 
1-1. 개요

▣ [스마트제조 개념]

- (전주기 걸친 통합 시스템) 원자재 관리, 생산, 물류, 서비스 및 제품을 포함한 모든 제조 기업 기능이 통합 시스템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모든 단계가 자동화(AT), 정보화(디지털화)(IT), 지능화되고 가치사슬 전체가 하나의 공장처럼 실시간 연동되는 생산체계(OT) 지향 

- 제품개발부터 양산까지 그리고 시장수요 예측 및 기업의 주문에서부터 완제품 출하까지 모든 제조 관련 과정을 포함

- (CPS, 스마트팩토리의 핵심요소인 사이버-물리 시스템) 모든 스마트제조를 위한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스마트팩토리의 제조 시스템으로, CPS의 분석 기능에 의해 전체 생산 프로세스를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동적 계획을 생성할 수 있음

- (CPS, IoT, IoS 간 정보교환으로 단일 공장처럼 실시간 연동) 스마트팩토리는 실제 생산 현장과 연결된 가상의 팩토리 모델로 구성되는 CPS 시스템을 통해 분산 소프트웨어 서비스(Internet of Service: IoS) 및 분산 장치 및 장비(Internet of Things, IoT)와 지속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면서 단일 공장처럼 실시간 연동됨
 

1.png


 
 
- (스마트제조 시스템용 표준화 개발 중) IoS와 IoT를 중심으로 많은 표준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통합을 위해서 5G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 빅데이터 운용, 고객맞춤형을 위해 고객에게 즉각 대응할 수 있는 3D프린팅 개발이 필수적이며, 또한 분권화를 위해서는 6축 다관절 로봇과 모듈형 설비, 복합 프로세싱을 구축해야 하며, 자율화를 위해서는 AI를 도입해 머신러닝과 딥러닝 등이 이뤄지도록 개발이 진행 중임

 
▣ [필요성] 뉴노멀 개인화 소비 트렌드에 대한 적응적 대응 강화 기반 기업 경쟁력 제고
 
- 국내 제조업 평균가동률, 매출증가율 등 제조업 지표 부진, 국제경쟁력은 하락 추세
 
- 한국의 제조업 비중은 주요 선진국은 물론 중국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을 기록할 정도로 여전히 제조업은 한국경제의 중요한 산업 부문으로 평가
 
-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 성장 동력으로서 스마트팩토리의 확산과 고도화가 요구됨
 
- 최근, 소비 트렌드는 개인화되고 다양화되어 이에 적응적으로 맞춤화된 제품 기획. 생산, 설계 변경 등에 대한 실시간 대응이 요구되고 있음
 
- 스마트제조의 궁극적 목표는 고객 맞춤형 제품을 최고의 효율로 생산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고객과
시장의 변화가 긴밀히 연관되어 있음

2.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