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과학기술투자펀드 출자사업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 등록일2021-06-15
- 조회수362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6-14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투자펀드#성과분석
- 첨부파일
과학기술투자펀드 출자사업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목차
제1장. 연구개요
제2장. 국내외 현황
제3장. 과학기술투자펀드 출자사업 성과분석
제4장. 과학기술투자펀드 출자사업 발전방향
제5장. 결론
◈요약문
제1장. 연구개요
□ 정책펀드란 전략적 육성이 필요한 산업 또는 특정 대상에 대하여 정부 가 주도하여 조성 및 투자하는 펀드를 의미
◦ 정부출자를 통해 중소·벤처기업 및 벤처기업 지원을 위한 벤처캐피탈 산업 육성
- 정부 정책캐피탈(GVC) : 정부가 직간접 지분투자 방식으로 조성한 정책펀드를 기반으로 직간접 투자방식을 통하여 벤처캐피탈(VC) 시장에 개입하는 정책금융의 일환
◦ 과학기술진흥기금을 활용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의 사업화 지원을 위해 ‘과학기술투자펀드 출자사업’ 추진
- 정부가 정책적으로 결정한 ‘대형 국가연구개발 실용화 사업’ 및 기타 대학·출연연· 기업 등에서 정부재원으로 수행한 연구개발 성과를 실용화하려는 기업 등에 투자하기 위하여 총 1,200억원 규모의 과학기술사모투자전문회사(PEF) 조성·운용
□ 과학기술투자펀드 출자사업 펀드 운용현황 및 성과 조사·분석 필요
◦ 국내외 정책펀드 및 정부 벤처캐피탈(GVC) 현황 조사 실시
◦ 과학기술투자펀드 출자사업의 펀드별 운영현황 및 성과분석 실시
◦ 국가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 관련 동향을 통한 향후 펀드 추진방향 제시
제2장. 국내외 현황
□ 국내 정책펀드는 조성자금의 특성에 따라 ‘정부자금’ 기반의 「모태펀드」와 ‘민간자금’ 기반의 「성장사다리펀드」로 구분 가능
◦ 「모태펀드」 운용기관인 『한국벤처투자』는 벤처투자조합 출자사업를 통해 모태 펀드를 포함한 8개의 펀드를 출자·운용 중이고, 엔젤투자펀드 투자사업을 통해 2개의 엔젤투자펀드를 운영 중임
◦ 「성장사다리펀드」 운용기관인 『한국성장금융』은 15개의 모펀드 및 232개의 자펀드를 운용·관리 중이고, 4.8조의 모펀드를 통해 총 22.7조원의 펀드 조성
□ 해외 정부 벤처캐피탈 프로그램은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활성화
◦ 미국, 캐나다, EU, 영국, 프랑스, 독일, 벨기에, 아일랜드, 등 많은 국가에서 자국의 중소기업 육성 및 벤처캐피탈 생태계조성을 위해 정책펀드를 추진 중
- 대부분의 정책펀드가 혁신형 초기창업기업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고, 일부 펀드는 성장기/확장기 중소기업까지 확대하여 지원하고 있음
- 최근 정부 벤처캐피탈 프로그램은 재간접투자펀드 방식으로 투자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
제3장. 과학기술투자펀드 출자사업 성과분석
□ 과학기술투자펀드 출자사업을 통해 총 2개의 과학기술사모투자전문회사(PEF) 설립
◦ 제1호 PEF를 통해 16개 기업 대상 24건의 투자가 이루어졌고, 약 63,289백만원 의 투자금액에 대하여 약 69,417백만원이 회수되어 109.7%의 회수율을 보임
◦ 제2호 PEF를 통해 21개 기업 대상 35건의 투자가 이루어졌고, 약 67,919백만원의 투자금액에 대하여 약 105,435백만원이 회수되어 155.2%의 회수율을 보임
□ 피투자기업별 재무성과, IPO성과,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성과분석 실시
◦ 피투자기업 재무성과 분석 결과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