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글로벌 나노정책 및 기술동향 21년 5월호] 과기정통부, 제 5기 나노기술종합 발전계획 수립
- 등록일2021-06-24
- 조회수366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6-18
-
출처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정책#나노기술동향
- 첨부파일
[글로벌 나노정책 및 기술동향 21년 5월호]
◈목차
1. 정책 브리핑
► 과기정통부,「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수립
► 과기정통부,「양자 기술 연구 개발 투자 전략」수립
2. 나노분야 주요 뉴스(5월)
1. 국외 동향
2. 국내 동향
3. 나노통계
2021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부처별 투자현황
◈본문
1. 국내외 주요 정책 동향
1. 한국
► 과기정통부,「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수립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향후 1◦년간의 나노기술발전 비전과 목표,추진과제를 담은「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21〜
’30, 5+5)」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하고 4월 30일 국가 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를 통해 확정
O 20년간의 투자로 이룩한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의 성과와 개선점을 평가하고,반도체.소부장•코로나와 같은 최근 이슈들을 종합적으로 점검하였으며,범용기술(GeneralPurpose Technology)로서 파급력이 큰 나노기술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수립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에서는 제4기를 통해 도출된 성과,글로벌 정책동향,국내 정책환경,정책적 시사점 등을 제시
O 최근 5년간(’15〜’19년) 국내 나노기술 투자 및 성과 현황(누적)
- (투자) 나노기술 분야 전체에 약 2조 9,977억 원을 투자하였으며,이 중 연구개발에 2조 5,311억 원(나노기술 분야 전체 중 84.4%)을 투자
-(논문성과) 한국 나노기술 SCI 논문은 46,060건으로 전 세계 나노기술 분야 논문 총 750,496건 중 6.1%를 차지하며,중국,미국, 인도에 이어 세계 4위 수준
- (특허성과) 미국특허청(USPTO) 기준 한국 국적 출원인이 등록한 특허는 5,298건으로 전체 71,198건 중 7.4%를 차지하며,미국,일본에 이어 세계 3위 수준
- (인프라) 나노기술 분야의 인프라기관 서비스 제공은 총 303,121건 이루어졌으며,산업계 148,833건(전체 중 49.1%), 학계 98,793건(전체 중 32.6%), 연구계 12,681건(6.9%)을 제공
- (기술료 및 사업화 성과) 나노기술 분야의 기술이전 2,168건,기술료 징수액 859억 원, 사업화 6,436건 발•생
- (인력양성) '19년 기준 핵심 연구인력은 12,007명으로,'15년 9,142명 대비 연평균 증가율 7.1%로 증가
□ '글로벌 미래선도 나노2030’ 비전 달성을 위해 글로벌 선도연구,산업화 경쟁력 강화, 나노펩 인프라 고도화,혁신기반 조성 등 4대 전략 및 14대 추진과제를 발표
O 전략 ① 창의•도전 글로벌 선도 나노연구 강화
- (과제. 1) 나노 기초•원천연구 투자 강화 : 나노 과학기술 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투자 확대,미래산업과 소부장 현안 대응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원천기술 개발 강화
• 나노분야 기초연구 투자규모 확대
• 미래수요 대응 선제적 원천기술 개발
•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창출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
• 나노기술 분야 전문연구회 운영
- (과제. 2) 나노기반 미래이슈 해결형 연구개발 추진 : 사회•경제적 주요 이슈에 대해 나노 기술이 기술적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개발 주제 발굴 및 프로그램 추진
• 비대면 시대의 기반이 되는 나노전자소자 기술개발 추진
• 팬데믹 및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는 나노바이오 기술개발 추진
•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나노그린에너지원 기술개발 추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