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등록일2021-06-29
- 조회수452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6-2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백신정책#백신동향
- 첨부파일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정책 동향 및 시사점
◈목차
I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미국 내 범유행
Ⅱ.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동향과 이에 대한 다각적 분석
Ⅲ. 결론 및 시사점
◈본문
I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미국 내 범유행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란?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2 (SARS-CoV-2), (이하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순에 중국 우한시에서 처음 감염자가 확인되며, 세상에 알려짐.
⊙ 공식적인첫감염자는원인불명의폐렴환자로분류되어치료를받았으며,2019년12월31일까지추가로27건의 원인불명의 폐렴환자가 확인됨. 그 후, 2020년 1월 13일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가 이 원인불명의 폐렴질병을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폐렴으로보고하고,이후세계보건기구(이하WHO)가2019-nCoV급성 호흡기질환으로명명한뒤,최종정식명칭으로 Coronavirusdisease-2019,COVID-19으로확정함1).
⊙ 코로나19의 주된 전염경로는 감염자의 호흡기 비말에 의한 전파이며, 이외에도 밀폐된 환경에서의 에어로졸을 통해서 비감염자의 눈, 코, 입 등에 들어가면서 감염됨. 또한, 감염자와의 신체 접촉 (악수, 입맞춤 등)에 의해서도 감염된 사례가 있음. 그러므로 효과적인 감염 예방법으로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올바른 손씻기, 손 소독제 사용 등이 있음.
⊙ 코로나19의 잠복기는 평균 5~7일정도이며, 주된 증상은 발열, 기침, 호흡곤란, 오한, 근육통, 두통, 인후통,후각과 미각 손실 등으로 다양하며, 치명률은 지역, 인구연령, 감염 상태 및 기타 요인에 따라 0.1~25%로 다양함.
⊙ 현재까지 FDA에 정식허가를 받은 특이치료제는 없으며, 코로나19 경증 환자의 경우에는 해열제, 수액 공급등의 치료를 진행하며, 중증 환자의 경우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렘데시비르 (Remdesivir) 등다른 질병 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들과 리제네론 사가 개발한 코로나19 단일항체 치료제를 (Casirivimab과 imdevimab) 긴급 승인하여 사용하는 중임.
■ 코로나19의 미국 내 범유행
⊙ 2020년 1월 20일, 우한시로부터 귀국한 미국인이 미국 내 첫 코로나19 감염자로 판명된 이후, 현재까지 약 3400만여 명의 코로나19 감염자와 60만 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함. 이 수치는 전 세계 코로나 감염자 (1억 7700만 여명)의 약 19% 정도로, 미국의 인구수를 고려할 때 매우 높은 편임 (2021년 6월 14일 기준).
⊙ 전문가들은 미국의 코로나19 방역 실패에 대한 가장 큰 원인으로 트럼프 정부의 늦장 대응, 정치적 신념에 따른 마스크 착용 거부, 성급한 봉쇄 조치 해제, 다인종 국가 특성상 많은 해외 여행객, 국민 수 대비 높은 비율의 성인병 환자들, 건강보험 문제로 인한 의료서비스의 접근성 등을 꼽는 중임 2)3).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
- 산업동향 일본 코로나 등 진단키트 시장 동향 2024-11-25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접촉추적격리 정책 국제 비교 및 정책 효과 시뮬레이션 연구 2024-08-16
- 제도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이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병원체자원 분양 현황(2020–2023년) 2024-07-24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대응 거버넌스 변화와 정책에 관한 고찰 (2020년 1월–2021년 12월) 2024-02-07
- 기술동향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의 증상 및 관련 연구 동향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