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수요기반 R&D 활성화 방안
- 등록일2021-06-30
- 조회수355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5-27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분야#정부출연연구기관#수요기반 R&D #R&D 활성화
- 첨부파일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수요기반 R&D 활성화 방안
◈목차
CHAPTER 01. R&D 환경 변화와 수요기반 R&D의 중요성
▘ R&D 패러다임 변화
▘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 확대
▘ 수요기반 R&D의 중요성
CHAPTER 02. 수요기반 R&D의 접근 방법
▘ R&D 방식의 전환
▘ 수요기반 R&D 수행을 위한 도구
CHAPTER 03. 수요기반 R&D 활용 사례
▘ 수요자 경험 활용 프로세스
▘ 수요자 만족도 조사·분석
▘ 수요자 피드백 체계 효과 검증
CHAPTER 04. 출연(연)의 수요기반 R&D 활성화 방안
▘ 수요기반 R&D를 위한 정책적 대응
▘ 수요기반 R&D 활성화를 위한 실천 전략
◈요약문
최근 디지털 전환이 가져온 기술혁신과 R&D 패러다임의 변화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이하 출연연의 경제사회적 가치 창출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즉 기술혁신을 통한 산업 경제적 기여와 함께 사회문제 해결 및 국민 삶의 질 제고 등과 같이 출연연의 수요기반 R&D 요구에 대한 비중이 보다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에서는 수요기반 R&D의 중요성과 이에 기반한 출연연의 역할 재정립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기존 R&D와 수요기반 R&D의 특성과 차이에 대해 파악하고 수요기반 R&D 과정에서 참여자 간 상호소통을 기반으로 문제해결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를 소개하였다. 또한 수요기반 R&D 프로세스에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객만족경영 활동에 기반한 수요자 피드백 체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수요기반 R&D 과정 및 성과가 실질적인 수요자 만족으로 연계될수 있는 체계 개발을 위한 실천 전략을 제안하였다. 수요자 경험의 체계적 관리 활용 연구과정에서 참여자 간 상호소통을 활성화할 수 있는 R&D 시스템 구축 등이 요구된다
◈본문
CHAPTER 01. R&D 환경 변화와 수요기반 R&D의 중요성
▣ R&D 패러다임 변화 ≫ 환경 변화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D.N.A.Data-Network-AI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기술은 기술혁신 및 R&D 관점에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촉진하고 있음.
• 기술혁신 패러다임 변화 기술혁신 패러다임의 변화 방향은 혁신주체와 업종분야 지식창출의 경계 소통수단 혁신형태 등 전방위적으로 변화하고 있음 (홍사균 2016.)
• R&D 패러다임 변화 사회경제 시스템의 변화와 문제의 복잡성 증가 기술혁신이 가속화되면서 개방형 R&D 체계로 변화하고 있음.
※ 제4세대 패러다임은 잠재적 수요를 발굴하기 위한 경제사회적 소통의 강화 융합을 위한 실질적인 산학연 협력 확산 과학기술 분야와 인문사회 분야의 융합형 교류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창의력과 함께 창의력이 혁신으로 이어지게 하는 역동적인 혁신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함 (고영주 2012.)
≫ 출연연의 역할 변화 디지털 전환에 따른 중장기적 경제사회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혁신을 통한 산업경제적 기여와 함께 사회문제 해결 잠재적 위협에 대한 사전 대응 및 국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의 역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
• 출연연의 주요 성과 1966년 KIST 설립 이후 산업 분야별 연구기관 설립을 통해 국가 주요 산업 성장 다방면에서 국가 R&D를 선도하며 경제성장과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함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9. )
※ 출연연의 주요 성과 국산컴퓨터 1호 (`75년) TDX 국산화 (78-93)년 DRAM 개발 (86-93년) CDMA ( 79-96년) 공업용 다이아몬드 (90년) 한국형 KTX (03년) WiBro (04년) KSTAR (07년) SMART 원자로 (12년) 나로호 발사 (13) 자기부상열차 (14년) 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