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지표관점에서의 한국 AI 현황 검토와 정책 시사점
- 등록일2021-07-09
- 조회수335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7-09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AI#한국 정책
- 첨부파일
지표관점에서의 한국 AI 현황 검토와 정책 시사점
◈목차
1. 작성배경
2. 한국관련 인공지능 (AI) 주요현황 분석
3. 시사점
◈본문
1. 작성 배경
▣ 최근 급속한 기술발전과 디지털화 과정에서 AI(인공지능)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크게 증가함.
• AI는 급증하는 데이터의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에 기여함으로써 데이터를 자본 및 노동과 유사한 생산요소로 변환시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함*과 동시에 증거기반 정책의사결정 발전에도 큰 기여 가능
* 미국 데이터 주도기업 시가총액은 ’85년 $88B에서 ’20년 3분기 $5T 규모로 크게 성장1>
▣ 미국 스탠포드대는 최근 ‘Al Index Report 2021’ 발간(’21.3)을 통해 AI 관련 다양한 데이터를 추적, 대조,추출 및 시각화하여 시에 대한 데이터 및 인사이트를 제공
• 보고서에 제시된 AI 관련 지수를 해당분야 통계들과 함께 한국 관점에서 살펴보고 연구혁신정책에서의 함의를 확인
2. 한국 관련 인공지능 (AI)주요 현황분석
▣ AI 논문 건수 및 피인용수
- 한국의 AI 출판물 수 순위는 상승 추세로 8우卜11 위 수준이며 전체학문 평균3> 대비 양호한 경쟁력을 확보한
것으로 해석됨.
• 2019년 기준 AI 저널의 피인용수4〉(7우|) 및 AI 컨퍼런스 피인용수5〉(11위)는 전체 SCI 논문 피인용수(13위)보다
높은 순위로 전체 SCI 논문 대비 양호함.
• 단,세계 AI 논문에서 한국 점유율(2% 수준)은 전체 SCI 논문에서의 점유율(3.5%)보다 낮음.
한국 AI 논문의 주체별 점유율은 학술기관(92.7%),정부(11.6%), 기업(9.1%)의 순서이며(중복 허용),동료평가를 거친 총 AI 출판물 전년대비 49.3%로 15위권 국7ᅡ중 2위,산학협력 논문 수는 9위 수준을 기록함.
▣ Al 특허 수 및 인용 수
0 AI 특허의 경우 양적인 관점에서는 높은 순위에 위치하지만 질적인 관점에서는 개선이 필요
• 세계 AI 특허수와 피인용 수 각각에 있어서 한국은 4위를 기록7 8>
• 미국 AI 부문 등록특허에서 점유율 기준으로 한국은 3위(3.97%) 8)를 기록하였으나 피인용지수(CPP)와 특허영향지수
(PII) 71준으로 각 28위와33위에 위치
* 클래리베이트사와 KAIST가 합동으로 조사한 AI 특허 통계9 10>에서도 유사한 결과 제시: 2010년〜2019년간 한국의 총 AI 특허 수는 4위로 높으나,특허 영향력 지수(CPI)는 8% 수준으로 상위 10개국 평균인 14%보다 낮은 값을 보임.
▣ 민간의 AI 투자 및 기업
■ 총 AI 민간 투자 금액*은 COVID-19 상황에서도 2020년에 9.3% 증가를 보임(2019년 5.7% 증가).
* 지난 10년간 40만 달러 oI상의 투자를 받은 AI 스타트업 7,500개 기업 중 7,000개 71업의 민간(사모) 투자 동향을 분석하여 결과 제시
• 미국과 중국 두 나라가 전체의 75% 이상을 차지하며, "Drugs, Cancer, Molecular, Drug Discovery" 분야에 Al 민간 투자가 집중됨.
0 한국의 Al 민간 투자는 증가 추세로,2016년〜2020년의 5년간 총합은 683백만달러 수준(12위)
• 한국의 AI 민간 투자는 아직 초기 단계인 것으로 해석됨.(1 위인 미국의 0.9% 수준)
▣ AI 기술 보급률 및 직업,다양성
0 한국의 상대적 기술 보급률은 1.12로 6위(2015-202◦년 통합)
• AI 기술 보급률이 높은 상위 5개 산업에 있어서 한국은 교육 산업(1.8, 3위)과 SW & IT서비스(1.1,4우|) 부문에서
세계 평균 대비 우위를 보임.
▣ 성별 기준으로 AI 기술의 상대적 보급률을 살펴보면 한국은 여성 AI 기술 보급률이 세계 평균보다 높은
1.261 이며 3위에 위치함.
• 성별 구분의 경우 대부분의 국가와 달리 한국은 남성의 AI 기술 보급률(0.67)이 여성(1.26)보다 낮게 도출되며
제시된 국가중 12위에 위치
▣ 글로벌 AI 활동성 지수
- 한국의 글로벌 AI활동성 지수1 Q)는 2020년 기준 5위이며,세부지표의 경우 특허와 상대적 AI 기술보급률이
상위권에 위치함.
• 15개 지표 중 5위권 이내 지표가 6개*,10위권 밖 지표가 5개**로 지표간 편차 존재
* 5위권 이내 : AI특허 수,인구 대비 AI 특허 수,AI 특허 인용 수,인구대비 AI 특허 인용 수,상대적 AI 기술 보급률,상대적 AI 기술
보급률(여성)
** 10위권 밖 : 인구대비 컨퍼런스 논문,컨퍼런스 인용,인구대비 컨퍼런스 인용,인구대비 저널 인용,고유 AI 직업수(여성)
• 단,높은 순위를 보인 AI 특허 수 및 피인용 수(각 4위)의 경우에도 규모 기준으로는 최상위국 대비 큰 격차*로
뒤쳐져 있음
* 1 위국 대비 특허 수와 피인용수 각각 21 %, 12% 수준
〈주요 양적 지표의 2020년도 순위 및 1 위국 대비 한국의 규모 비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