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21년 유럽혁신지수 분석과 시사점

  • 등록일2021-08-18
  • 조회수353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8-13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유럽혁신지수#혁신지수분석#유럽혁신지수 시사점#유럽연햡
  • 첨부파일


2021년 유럽혁신지수 분석과 시사점


◈목차


1. 개요

2. 유럽연합 회원국 및 기타유럽국가의 혁신성과 비교

3.한국 및 글로벌 국가 혁신성과 비교

4.요약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O 유럽집행위원회(EC, European Commission)는 유럽연합 회원국과 기타국가를 대상으로 연구혁신 성과에 대한상대비교 분석인 유럽혁신지수(티S,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를 매년 발표 해왔으며 금년 6월에 20차 결과를 발표

• 2001년부터 발표해온 유럽혁신지수는 국가간상대비교와 시계열 분석을 통해 국가별 위치 가늠과 혁신성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 노력이 필요한 영역 식별 등에 기여
• 특히, 금년도에는 유럽연합의 정책방향에 부합하도록 디지털화와 지속가능한 혁신을 반영한 새로운 지표체계를 적용
* 유럽연합27개국가와기타유럽권 11개국가(영국,세르비아, 터키,아이슬란드 노르웨이,스위스,마케도니아, 이스라엘,우크라이나,몬테네그로,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글로벌 경쟁국 10개 국가(한국,캐나다,미국, 호주,일본,중국,남아공,러시아,브라질,인도)를 비교

O 국가를 분석단위로 설정하고 혁신 활동과 성과에 대한 정량값에 대해 복합지수 구성방법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

• 기존지표체계*에서 디지털화와환경지속가능성의 2개 항목을추가하고 15개 지표를수정/신규 반영하여 총 4개 부문,12개 항목,32개 지표로 혁신지수를 구성(표1,그림1 참조) * 2017년〜2020년 기간 동안에는 4개 부문,10개 항목,27개 지표체계 구조를 적용하였음.

※ 국가간 비교성 확보를 위해 국제기구의 데이터를 적용하였으며 금번 산출에 적용된 데이터의 마감시점은 2021 년 4월 28일로 명시됨.
※ 적용된 32개 지표별로시차가존재하며 산출시점을 기준으로 금년도 데이터를 2021 년으로 명명 : 지표별로 2020년(7개),2019년(11개),2018년(12개),2017년(1개),2016년(1개) 값 각각 적용
※ 가용 데이터의 한계로 인해 COVID-19의 영향은 분석에 포함시키지 못함.
 
 

1.png

 

2.png


O 이번 호에서는 유럽연합 회원국 및 기타유럽국가의 혁신성과와 더불어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주요국의 상호비교 분석에 대한 내용 중 중요 부분을 정리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함.

 
2. 유럽연합 회원국 및 기타유럽국가의 혁신성과 비교
2.1 유럽연합 회원국의 혁신성과 비교

O 유럽연합 27개 회원국의 혁신성과는 2014년 기준으로 12.5%p 증가하였으며 상위 순위는 전년*결과와 동일하게 스웨덴,핀란드,덴마크 등의 북유럽 회원국이 차지
 
 
« 새로운 지표체계에 맞추어 2014년 이후 값을 산출하였으며 국가별 순위는 32개 지표값에 동일가중치를 적용하여 합성한 요약혁신지수(Summary Innovation Index)값을 기준으로 부여
* 새로운 지표체계에 맞추어 각 년도의 값을 새롭게 산출하였으므로 전년도(2020년) 보고서에 제시된 값 및  순위와는 소폭 차이가 있음.
• EU 회원국별로 2014년 대비 혁신성과 개선의 정도를살펴보면 에스토니아(35.4%p),사이프러스 (33.0%p), 리투아니아(30.9%p) 등의 국가들이 높은 증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남
• 2020년과 비교시 27개 회원국중 20개 회원국은 혁신성과가증가하였으나 일부 국가*에서는 감소한 경우도 있음
* 포르투갈(-8.2%p),라트비아(-5.5%p),아일랜드(_3.2%p),네덜란드(_2.5%p),프랑스(_2.1%p), 룩셈부르크(-1.2%p),슬로바키아(-0.6%p)

 

3.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