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21년 유럽의 지역별 혁신 현황
- 등록일2021-09-09
- 조회수395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9-09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유럽#지역별혁신
- 첨부파일
2021년 제14호. 2021년 유럽의 지역별 혁신 현황
◈목차
1. 개요
2. 지역 혁신성과 분석
2.1 지역 혁신성과 그룹
2.2 지역 혁신성과 순위
2.3 시간에 따른 지역 혁신성과 변화(2014년-2021년)
3. 요약 및 정리
◈본문
1. 개요
▣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2021년 유럽혁신지수(EIS, 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의 지역적 확장판인 「2021년 유럽지역혁신지수(RIS, Regional Innovation Scoreboard)」를 발표
∙ 유럽혁신지수의 측정 방법론을 활용하여 유럽 지역 혁신 시스템의 성과를 평가
∙ 지역 혁신 데이터의 부족으로 유럽혁신지수의 일부 지표만이 평가에 활용되며, 매년 발표되는 유럽혁신지수와 달리 일반적으로 격년 발표됨.
※ 2002년 1호 발표를 시작으로 2003년, 2006년, 2009년, 2012년, 2014년, 2016년, 2017년, 2019년, 2021년까지 발표되었으며, 올해 보고서는 10호에 해당
▣대폭 수정된 2021 유럽혁신지수의 측정 방법론 *을 활용하여, 통계지역단위명명법(NUTS, Nomenclature of Units for Territorial Statistics)상 NUT1과 NUT2의 분석단위에서 지역 혁신성과를 평가
* EIS 2021은 디지털화, 지속가능한 혁신에 대한 지표가 추가된 신규 방법론을 활용
∙ 평가대상: 22개EU회원국, 노르웨이, 세르비아, 스위스, 영국등유럽26개국의 240개지역(41개 NUTS 1 지역, 193개 NUTS 2 지역)
※ 3단계 NUTS 분류 중 가장 큰 단위인 NUTS1은 주요 사회경제학적 지역, 중간 단위인 NUTS2은 지역 정책이 적용되는 기본 지역에 해당
∙ 평가지수: 유럽혁신지수의32개지표중21개지표를활용하였으며, 일부지표는데이터정의를변경
※ RIS 2019 대비 4개 지표 신규 추가 : 기본 이상의 디지털 기술 보유자, 혁신 기업 고용자수 대비 혁신 지출, ICT 전문가 고용, 산업에서 미세입자 PM2.5 배출량
∙ 대부분의지표가코로나판데믹이전측정된지표이기때문에본보고서는코로나판데믹의영향을 반영하지 않음.
※ 지표 최근 데이터 년도: 2020년(2개 지표), 2019년(8개 지표), 2018년(11개 지표)
이번 호에서는 「2021년 유럽지역혁신지수(RIS, Regional Innovation Scoreboard)」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발췌하여 정리・분석
2. 지역 혁신성과 분석
2.1 지역 혁신성과 그룹
▣ 지역혁신지수(RII, Regional Innovation Index)의 EU 평균 대비 수치를 기준으로 유럽 지역을 4개 지역 혁신성과 그룹으로 분류
※ 지역혁신지수는 21개 지표의 비가중평균으로 계산
∙ 지역 혁신성과가 EU 평균 대비 125% 초과인 38개 지역은 혁신리더지역, 100% ~ 125% 사이인 67개 지역은 혁신우위지역, 70% ~ 100% 사이인 68개 지역은 일반혁신지역, 70% 미만인 67개 지역은 후발혁신지역으로 구분
∙ 자세한 분석을 위해 4개 지역 혁신성과 그룹은 각각 3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뉘어, 총 12개의 그룹 으로 분류(표 2 및 그림 1 참조)
▣ 지역 혁신성과는 대체적으로 EIS 2021에서 평가된 국가의 혁신성과와 비슷함
∙ 모든 혁신리더지역은 EIS 2021에서 혁신리더국과 혁신우위국으로 분류되는 10개국*에 분포
* 혁신리더국인 스위스,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벨기에와 혁신우위국인 네덜란드, 영국, 독일, 노르웨이, 프랑스 등 10개국
∙ 대부분의 혁신우위지역은 혁신리더국 또는 혁신우위국에 분포하고, 11개의 지역만이 일반 혁신국에 분포(이 중 7개는 이탈리아에 분포)
∙ 전체 일반혁신지역 중 대부분(57%)의 지역이 일반혁신국에 분포하나, 혁신우위국에도 상당 부분 (37%)의 지역이 분포
∙ 거의 대부분(97%)의 후발혁신지역은 일반혁신국 및 후발혁신국에 분포 그러나, 혁신성과가 비교적 낮은 몇몇 국가에서도 두각을 나타낸 지역이 존재
∙ 국가 혁신성과보다 비교적 높은 지역 혁신성과를 보이는 지역은 일반혁신국 및 후발혁신국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대부분 수도를 포함한 고도로 도시화된 지역에 위치
※ 후발혁신국인 불가리아의 Yugozapaden(수도 Sofia 포함)은 후발혁신+지역, 일반혁신국인 체코의 Praha는 혁신우위-지역, 후발혁신국인 헝가리의 Budapest는 일반혁신+지역, 후발혁신국인 폴란드의 Warszawski stoleczny(수도 Warsaw 포함)는 일반혁신지역, 후발혁신국인 루마니아의 Bucuresti-Ilfov (수도 Bucarest 포함)는 후발혁신+지역, 후발혁신국인 슬로바키아의 Bratislavský kraj(수도 Bratislava 포함)는 일반혁신지역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글로벌 나노정책 및 기술동향 21년 8월호] 독일 연방교육연구부(BMBF), 양자 컴퓨팅 기술 로드맵 발표 등 ~
-
다음글
- 대형연구개발사업의 사업관리체계 개선방안 수립 연구
관련정보
지식